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도시이야기

바다를 다시 품은 시민들

by 운무허정도 2022. 5. 27.

이 글은 2022년 5월 26일자 경남도민일보 '아침을 열며'에 실린 칼럼입니다.

 

오랜 세월 등졌던 바다가 다시 시민들 품으로 돌아왔다. 최근 개장된 ‘마산3·15해양누리공원’ 이야기다. 이 공원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가 건설한 마산만 제1부두와 중앙부두를 아우른 곳이다.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시기 마산의 특산이었던 술·장유·직물 등과 마산인근에서 생산된 곡물을 전쟁터로 보내기 위한 부두였다.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정부 부두로 바뀌었다. 해양수산관련 공공기관청사들이 들어섰고, 부두이용권을 얻은 업체들의 사업장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시민들은 진입할 수 없었다. 때로는 높은 철조망이 쳐지기도 했고, 때로는 콘크리트 블록 담으로 차폐하기도 했다. 그것은 도시와 바다를 단절시킨 장벽이었고, 항구도시 시민들을 해안 없이 살게 하였다. 오죽했으면 시인 이선관이 ‘마산은 항구지만 바다는 없다’라고 했을까.

 

부두가 되기 전, 이곳은 월포해수욕장이었다. 목발 김형윤 선생이 ‘원산의 명사십리 못지않은, 모래가 깨끗하고 해변에 창창한 송림이 늘어선 백사청송(白沙靑松)의 경치였다’고 격찬했던 곳이다. 해수욕장 개장 때는 서울-마산 특별열차까지 운행되었다. 이야기와 사건도 많다. 나도향의 마지막 소설 「피 묻은 편지 몇 쪽」의 배경이었고, 30년대 중반 카프문학가 임화가 마산에 머물 때 자주 밤낚시를 나왔던 곳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기억하는 역사적 사건, 자유당 독재정권에 희생된 김주열 열사 주검의 현장이기도 하다. 1960년 3월 15일 한밤중에 친일경찰 박종표가 열사의 시신을 돌로 묶어 던진 곳도 이 부두였고, 4월 11일 열사가 꼿꼿이 선채 다시 떠올라 4·19혁명의 불을 댕긴 곳도 이 부두였다.

해안 2.3킬로의 6만6천 평 부두를 공원으로 돌려받은 시민들 반응은 뜨겁다. 한 중견 언론인은 ‘이거야말로 축복이다’라며 감탄했다. 특정계층만이 아니라 빈부·연령·성별 차이 없이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 좋고, 생활권에 가까워 사용가치가 높아서 더 좋다. 미래의 도시경쟁력은 이런 환경에서 나온다. 공사 중인 ‘민주주의 전당’ 등 새로운 시설이 들어서고 주변이 다듬어지면 가치는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공원 개장 후 주변 아파트 값이 올랐다는 말까지 있다. 그럴 만하다. 언젠가 부산대 연구팀이 광안리 해변 아파트거주자들에게 ‘다시 이사를 간다면 또 해변으로 가겠느냐’고 물었더니 무려 90%가 그럴 거라고 답했다. 도시에서 수변공간이 그만큼 매력적이라는 의미다. 그런 만큼 공원 주변 아파트 값 상승은 자연스러운 결과다. ‘워터프런트는 도시의 보석’이라는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향후 4년이 결정될 지방선거가 며칠 남지 않았다. 공직자의 따뜻한 웃음과 이웃의 상냥한 인사가 사람의 친절이라면, 걷고 싶은 길과 앉고 싶은 벤치는 도시의 친절이다. 걷고 싶은 길이 있고 가보고 싶은 공원과 앉고 싶은 벤치가 있는, 그런 친절한 도시에서 존중받는 시민으로 살고 싶다. 선진국이라지 않는가.

자치행정의 성패는 행정책임자의 도시철학에 달렸다. 브라질 쿠리티바 시장이었던 자이메 레르네르를 통해 세계에 입증되었다. 삶의 질을 소중한 가치로 생각하는 사람, 생태와 문화 패러다임을 가진 사람, 차의 길보다 사람의 길을 먼저 생각하는 공직자라야 한다. ‘사회를 살리는 것은 재판과 형벌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라 했던 톨스토이의 말처럼, 무엇보다 이 도시와 시민들에게 깊은 애정을 가진 공직자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