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마산항지(1926년) - 100 - 곤권(坤卷) / 제23장 경제현황

by 운무허정도 2024. 5. 20.

6. 비료(肥料)

 

만주 방면에서 수입되는 콩비지(豆粕)가 제1위이지만 마산에서의 거래액은 1만 원을 넘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녹비의 장려가 한창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녹비 중에서 가장 애용되고 있는 것은 자운영(紫雲英)이다.

 

진영에 있는 무라이(村井) 농장 등에서는 광막한 경작지가 그 개화기에 가면 밭 전체가 꽃을 깔아놓은 듯한 미관을 보여준다.

그 종자는 종래에는 내지에서 수입한 것이었으나 근년에는 농작자 자신이 종자를 채수(採受)하는 자가 많다.

또한 이외에도 청주 찌꺼기, 어유(魚油) 찌꺼기, 종자유(種油) 찌꺼기 등 몇 가지가 더 있는데, 마산에서의 거래액은 다 합해도 3만 원을 넘지 않을 것이다.

 

7. 가정 용기의 생산

 

가정 용기의 생산은 다 선인 전용의 기구(器具)이며 선인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다.

장인은 다 마산에 있으며 그 가게에서 판매하는 곳이 십여 군데가 있다.

 

1) 장롱(粧籠)

내지의 단스와 같이 대소의 상자에 금속구로 장식한, 일정의 뚜껑 있는 세간인데 의류를 수용하는 데 쓴다.

이들 장인은 마산포에 몇 집이 있는데 생산량도 적고 또한 수요도 흔한 것이 아니지만 내지인의 단스와 같이 집집마다 필요한 것이라 장이 설 때마다 팔리는 숫자는 15개 평균이며 한 달 90개, 연산 1천1백 개 정도일 것이다.

한 개 4원 평균으로 4천4백 원이 시장에서 유통되는 셈이다.

 

2) 밥상(食膳)

선인의 상용품으로 길이는 두세 자, 폭은 한 자쯤의 장방형 혹은 육각형에다 한 자쯤의 다리를 붙이고 꽃무늬를 조각하여 슌케이누리(春慶塗, 일본의 전통 옻칠의 하나 목재에 노란색이나 붉은색으로 착색한 다음 나무의 결이 드러나게 투명한 옷을 칠하는 기법)와 같이 까만 옻칠을 하고, 상의 표면은 두꺼운 나무에다 모양을 새겨 아주 우아하게 가공된 것이다.

내지인 중에도 이것을 소중히 다루어 접객용으로 내거나 화분 받침대로 쓰기도 한다.

나전이 들어간 것도 있다.

장이 설 때 30개 평균으로 치면 한 달에 180개, 일 년에 2천160개가 팔리니, 가격은 한 개 평균 2원 50 전으로 하면 5천3백 원에서 5천4백 원 정도가 시장에서 유통되는 것이다.

 

3) 놋그릇(黃銅器)

숟가락, 그릇, 다라이(盥), 촛대, 요강 등 여러 제품이 있는데 그 판매는 일 년에 4천 원까지는 미치지 않을 것이다.

가공이 아주 교묘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내지인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듯하다.

 

4) 갓(冠子)

입자(笠子)라고도 한다.

종래 선인 남자는 총각을 제외하고는 모두 머리를 감아 망건으로 머리를 두르고 이 갓을 그 위에 쓰고는 영감(令冠)이라 자랑하곤 했다.

이를 제조하는 제관공(製冠工)은 통영에 많이 모여 있었는데 거기서 배워 십여 년 전에 마산포에 나와 개업한 자 이래로 그 업자가 늘어났다.

망건, 흑관과 더불어 그 중등품 이하는 가는 삼(麻)으로 만들되 까만 옻칠로 굳혀서 말꼬리 털인 양 만든 것이고, 상등품은 다 순수 말 꼬리털을 그물로 만든 것이다.

지금이야 선인 풍속이 문화적으로 진화해 옛날의 흰옷을 버리고 양복을 입는 자가 많아져 소위 캡이나 해트라는 서양 모자의 제조가 속출함으로써 구래의 갓은 시골뜨기를 상대로 하는 것밖에 되지 않아 갓의 제조는 해마다 점점 감소해 가지만 아직도 갓 한 개 1원으로 치고 일년에 6~7천 개의 판매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글은 창원시정연구원이 2021년에 번역한 『馬山港誌』(1926) 중 100번 째 것이다. 그림은 별도로 삽입하였다. 『馬山港誌』는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일본 문헌 중 가장 가치가 높은 책으로 평가 받고 있다. 저자는 앞서 게재한 『馬山繁昌記』와 같은 스와 시로(諏方史郞)이다. 본 포스팅은 비영리를 전제로 창원시정연구원의 양해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