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마산·창원 역사읽기(3) - 고대사회의 마산과 창원은 가야의 영역이었다

by 허정도 2014. 6. 9.

1. 한국사 속의 마산·창원

1-3 고대사회의 마산과 창원은 가야의 영역이었다

 

고려군읍」 연혁도칠폭, 채색필사본, 19세기 이후, 영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 단군조선 이후 고려까지 각 왕조의 강역을 그린 일종의 역사지도. 강역의 역사적 변천과 도성을 비롯한 주요지명의 위치를 이 지도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흔히들 한국의 고대사회를 고구려, 백제, 신라를 중심으로 하는 삼국시대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기원을 전후로 한 시기에 한강의 남쪽 지역에는 많은 나라들이 있었다.

중국의 정사서인 “삼국지”에는 마한(지금의 경기도,충청도,전남지역), 진한(낙동강의 동쪽), 변한(낙동강 서남부지역)이 있었다.

이들 삼한에는 다양한 이름의 나라들이 있었다. 마한에는 백제국을 비롯한 54개국이, 진한에는 사로국을 비롯한 12개국이, 변한에는 구야국,안야국을 비롯한 12개의 나라가 있었다.

이와 같은 나라 외에도 다른 나라들이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들장하고 있다. 포상팔국이 대표적인데 그 중의 하나가 골포국이다.

골포국이 “삼국유사”에는 합포로 비정되고 있다. 하지만 유적과 유물의 분포로 보아 고대사회의 마산.창원지역에서 정치집단이 형성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세 곳이다.

성산패총 일대의 창원시 지역, 다호리를 중심으로 하는 창원 동읍일대와 마산의 진동만 일대이다.

따라서 합포가 마산만이므로 마산의 중심지 보다는 마산만을 끼고 있는 창원시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이곳에는 청동기시대 이후부터 가야시기까지의 유적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다. 가음정동유적(지석묘,청동기시대주거지.패총,고분군,수전지), 성산패총, 내동패총, 삼동동고분군, 외동패총 등이다.

다호리유적이 있는 창원의 동명일대도 정치집단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정치집단의 이름을 알 수는 없지만, 다호리 유적에서 조사된 오수전이나 중국제 거울은 당시 북쪽에 존재하였던 낙랑군 등 다른 나라와도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삼국지”의 기록처럼, “변한에서 철이 많이 생산되어 이것을 낙랑이나 왜 등지로 수출하였다”라는 것은 정치집단이 존재했던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이를 재료로 하여 만든 다량의 철기유물, 그리고 그 원료인 철광석 등이 다호리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성산패총은 철생산지였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고 있다.

 

마산.창원지역에 있었던 골포국 등의 나라들은 4세기대를 지나면서 다른 나라로 바뀌었다.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한 정치집단은 탁순국이었다.

4세기대가 되면 백제국과 사로국은 인근 지역으로의 진출을 통하여 영역을 확대하고 백제.신라로 발전해 나갔다. 변한지역도 마찬가지였다.

가야지역에는 “일본서기”에 의하면 13개의 나라가 있었다. 고령의 가라국, 김해의 남가라국, 함안의 안라국등이었다.

탁순국은 창원지역을 포함하는 정치집단이었다.

탁순국의 성장과 발전을 보여주는 유적은 고분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마산의 경우 고성과 인접한 진동쪽의 대평리유적을 비롯하여 현동유적, 자산동고분군이 있고 창원에는 주남저수지와 인접한 야산과 저지대에 넓게 형성된 다호리유적, 도계동고분군, 가음정동유적, 삼동동 옹관묘유적, 반계동유적, 천선동고분군, 창곡동유적등 10개소에 달한다.

탁순국은 신라와 백제의 가야지역 침략과정에서 가야지역의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끝까지 기울였다. 하지만 신라의 끊임없는 가야지역 진출과정에서 김해의 금관국이 신라에 멸망됨으로써 더 이상 세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6세기 중반경에 신라에 자진 투항하고 말았다.

신라가 가야지역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했던 것은 6세기대에 접어들어 신라가 국가체제를 정비하면서부터였다. 법흥왕은 금관국을 함락(532년) 시켰고, 562년 고령의 가라국이 신라에 정복됨으로써 신라는 가야의 전역을 차지 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는 한반도에서 군사적인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7세기 중엽에 백제를 멸망시키고 고구려의 일부 영역도 차지하게 되어 삼국을 통일하게 되었던 것이다.

통일후 신라는 새로이 확보된 영역을 통제하기 위하여 지방제도를 정비하였다. 685년 신문왕은 대동강 이남의 지역을 주-군-현 체제로 정비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했다.

마산과 창원지역은 이미 신라가 탁순국을 정복하여 굴자군으로 삼았으며, 경덕왕이 의안군으로 이름을 고쳤다. 소속된 지역은 칠제현(함안군 칠원면), 합포현(마산시), 웅신현(진해시 성내동)의 셋이다.<<<

남재우 / 창원대 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