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92. 묘락좌의 화재사건

by 허정도 2016. 5. 16.

92. 묘락좌(妙樂座) 화재 사건

 

1931310일은 일로(日露) 전쟁에 승전한 육군기념일로 진해 군항에서는 아침부터 축제 기분에 들떠 있었다.

읍내에 있는 목조 2층 건물인 영화관 묘락좌(妙樂座)에서는 무료 영화를 공개하는데 조선인을 제외한 일인, 읍민, 군인, 소학생만으로 소위 대입(大入)’ 만원을 이루었다.

영화가 한창 상영되어가고 있을 때, 2층 영사실에서 돌연 화재가 일어났다.

그 당시의 필름은 가연성 물질이어서 가끔 인화의 화를 입게 되었으므로 필름을 취급하는 자는 각별히 주의를 했어야 했다.

그날 묘락좌(妙樂座)의 경우를 보면 무료 입장이라 장내는 발디딜 틈이 없었고, 영사 도중 혼란을 막기 위해서 비상구는 물론 출입문까지 꼭 잠가버린 뒤에 불이야소리가 났으니 장내의 소란은 그야말로 아비규환이었다.

화재는 삽시간에 사방으로 점화하여 연기에 눈을 뜰 수가 없었고, 목조 2층 건물은 완전 소진되었는데, 성인 몇 사람이 겨우 탈출하여 생명을 건졌을 뿐 일인 소학생 150명이 모조리 소사(燒死)하였고, 그 중에는 아기를 보는 조선인 여아가 단 한 사람 희생이 되었다.

<희생자를 150명이나 낸 진해소학교>

 

그 후 소사자(燒死者)의 수는 더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나 당국에서는 사건의 중대성을 감안하여 은폐한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이건 여담이지만 이 화재사건을 보도하기 위한 일본 국내 양대지(兩大紙)의 치열한 경쟁을 여기에 기록하면 다음과 같다.

예나 지금이나 동종의 사업 치고 경쟁이 없는 것은 없었듯이 국내의 동아·조선지도 그랬고, 조선총독부 기관지 경성일보 대 조선신문(일본 야당계 수산경장收山耕藏 주간)도 그랬다.

일본의 양대지 대판매일과 자매지 동경매일(지금은 지명을 붙이지 않고 매일신문으로 발행)은 정부 어용지로서의 대신문이지만 동경 대판의 조일신문(朝日新聞)은 지사적인 인물만 모인 절대 자유주의적인 신문이란 점만 보더라도 하나에서 열까지 대립될 소지가 많았다.

전기(前記) 진해 극장 대화재를 예를 든다면,

당일 이 급보를 대판매일 부산지사에 제1신을 알린 부산일보 마산지사장 겸 매일신문 통신원 고교무웅(高橋武雄) 기자는 진해 현지에서 취재 즉시 그 시간에 부산지사에 출근하고 있던 김근호와 접선, 부산 체신국으로 달려가 부산, 일본간 해저전선을 대절함으로써 김근호 특파원발 특급 전보가 매일(每日) 본사로 입전(入電)하여 지급(至急) 호외가 되어 도하 각지에 살포되었으며, ·석간에 호외 재록(再錄)까지 할 수 있었으니 본사 간부 일동은 보도 승리를 자축까지 하는 판국이었다.

오직 조일지(朝日紙)의 청산(靑山) 특파원은 도경찰부에 들어오는 현황 보고에만 의존하여 전신과에 당도하니 경쟁지의 특파원은 벌써 본사에 연락하고 난 뒤라 그래도 일루의 희망을 가지고 타전코자 하면 여전히 전보선 대절이란 방해에 부닥쳐 결국 단념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매일(每日)의 전격적인 선수에 위축된 것은 조일 외 제국통신 등 2,3개 전신사로서 그들은 속수무책이었다.

진해사건은 매일(每日)이 완전 독점함으로써 치명상을 입은 특파원 청산(靑山)에 대해서는 경고 또는 퇴사론까지 대두되었다고 하며 김근호 특파원에게는 본사가 표창을 한 것은 물론 정사원으로 임명됨으로써 언론계의 한 때 화제 거리가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