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93. 어시장

by 허정도 2016. 5. 23.

93. 어시장(魚市場)

 

마산의 한인 경제의 동맥이라고 일컫는 구마산 어시장의 연혁은 확실치 않으나 약 2백 수십 년 전부터라는 고로(古老)들의 추측으로서 생선과 일용품 시장은 6,70년 전까지는 구강(舊江, 현 산호동)이라는 취락의 발상지라는 것이다.

지금은 어업조합으로 약진하여 부산에 버금되는 조합건물이 윤환(輪奐)의 위세를 뽐내고 있지마는, 조합 이전의 어시장에는 객주 제도라는 것이 있어서 영세 어민에게는 조업자금을 대여함으로써 어로고(漁撈高)의 몇 분의 얼마를 이자조로 공제하여 객주와 어민간의 상호 유대를 견지해 왔던 것이다.

합포사라는 객주들의 협의기관을 조직하여 외래자금의 침투를 공고하게 방어하여 그 움직임이 일사불란하였다.

 

<마산포 해안의 석축돌제(위)와 부두(아래)>

 

한 예를 들면 외래자금이라는 것은 특히 일인들을 지칭하는 것인바, 그 당시 욱일 승천의 강압세력을 가진 신마산 방면의 일인들이 음양으로 한인업계를 침식코자 하였으나 난공불락의 한인 아성에 근접도 못했으며,

실례로 길형(吉形)이라는 일인이 점포를 빌리기는 했어도 상거래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니 그 결과는 명약관화로 수개월간에 파산한 바 있었다.

재래의 업자 외에는 연고 없는 여하한 한인이라도 냉연히 거부함으로써 마산의 몬로집단이요, 2의 개성이라는 명예스러운 평도 받았다.

그리고 연중 행사의 하나로서 풍어를 기원하는 어민들은 별신당에서 가장 경건한 제사를 올리기도 한다.

별신제의 음호(陰護)라고 할까? 그때만 해도 어업 허가는 지금처럼 남발이 아니었고 남획도 없었던 탓인지 언제이고 규격에 맞는 계절 생선이 풍요하였을 뿐 아니라 창원강(진해만 연안 즉 통영, 고성, 남해, 거제, 가덕의 통칭)의 생선은 그 진미에 있어서 멀리 동해와 서해의 것에 비교할 수 없이 월등하여 남녘 바다에서 합포만으로 몰려오는 어선은 장관을 이루었고 뭍에서 대기하고 있던 수십 필의 운반 우마차가 인근 군부(郡部)로 종락(終絡)하는 은성상(殷盛相)이었다.

그러던 것이 시세의 변천과 지방의 자연 발전으로 옛날 선창 앞 해변을 매축하여 현재의 위치에 어조(漁組)의 면모가 일신하고 석일(昔日)의 어시장은 옛날 모습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일인들은 매축으로 확장된 이곳에 공동권과 우선권을 방패삼아 소위 내선합자어업조합을 강제로 조직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일본의 패전으로 진주한 지 불과 1,2년 만에 총 퇴진하고 오늘에 이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