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공간과 건축의 궤적 - 창원 성산구 대원동 '꿈에그린' 재건축 터의 역사 - 7

by 운무허정도 2019. 1. 7.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3


2) BAY

대규모 단위주거가 아니라면 BAY 수가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대원2지역이 건축되었던 1980년경에 지어진 60는 전부 2BAY였고 85규모의 계단실형 아파트도 대부분 2BAY였다. 최근은 두 규모 모두 3BAY, 심지어 4BAY까지 출현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BAY 수는 채광이 양호한 쪽의 실 개수를 말한다.

대원2구역 아파트의 BAY 수는 모두 2BAY이고 북쪽은 3BAY이지만 새경남아파트와 세플러코리아사원아파트, 경남아파트는 남북 두 쪽 모두 2BAY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동양상가아파트의 경우 주방과 거실 및 작은 방으로 구성된 3BAY이고 북쪽이 큰 방 두 개로 구성 2BAY이다.

 

3) 실 구성

. 공실(거실 Living, 식사실 Dining, 부엌 Kitchen) 변화

규모가 작은 아파트일수록 한정된 면적을 각 실에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거실, 식사실, 부엌 등 공실의 구성계획이 평면의 가장 중요하다.

전체 평면에서 이 부분이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동선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기에 상관없이 우리나라 대부분의 아파트 구조는 거실과 식사실, 그리고 부엌을 모두 가지고 있는 평면이다.

비교적 넓게 개방된 거실(L)과 식사실 겸 부엌(DK)을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방식(L+DK)이 대부분이다. 좁은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은 이 방식은 시기별로 큰 변화 없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공실의 면적은 1980년대에는 평균 23정도였으나 이후에는 조금씩 좁아지는 추세였다. 침실의 숫자와 관계가 있다. 85에서는 28.59정도의 평균면적을 가졌는데 이런 규모는 큰 변화가 없다.

대원2구역 아파트의 공실은 다음과 같다.

현대사원아파트, 대원아파트, 쌍용아파트 ; 전형적인 LDK 방식으로 남쪽으로 개방된 거실에 식탁과 부엌이 연결되어 있다.

현대사원아파트의 부엌 조리대는 가로세로 1.7m의 크기로 좌측 방 쪽에 원볼 타입의 개수대가 우측 베란다 쪽에 가스렌지가 배치된 형태였다.

조리대는 당시 아파트에 대량으로 제작 납품하던 중급 제품이었다. 베란대 쪽으로 약 폭 1.2m×높이 0.4m 정도의 환기구가 있었고 조리대가 접한 벽은 타일 무늬의 비닐벽지가 붙여져 있었다.

 

<현대사원아파트의 거실, 식당, 부엌 (LDK)>

 

<현대사원아파트의 부엌 조리대>

 

<대원아파트의 거실, 식당, 부엌 (LDK)>

 

 새경남아파트, 세플러코리아사원아파트 ; 거실(L)은 없다. 하지만 부엌과 연결되는 방이 두 짝의 미서기 문으로 되어 있어서 가족 수에 따라 거실로 전용할 수 있는 구조로 짜여있다. 소형아파트에서 채택되던 평면형이다. 식탁은 부엌과 연결(DK)되어 있다.

새경남아파트 부엌 조리대는 원앙리빙키친이라는 브랜드이다. KS마크가 선명한 이 브랜드는 당시 꽤 수준 있는 브랜드였으며 지금도 생산되는 제품이다.

 

<새경남아파트의 식당, 부엌 (DK). 두짝 미서기문이 달린 방이 보인다>

 

<새경남아파트 싱크의 브랜드>

동양상가아파트 ; 거실과 식당 주방이 연결된 LDK 형식이지만 다른 아파트가 남북으로 이어진 것과 달리 남쪽에 거실과 주방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식탁이 놓인다. 현관에 들어서면 바로 연결되는 거실이 부엌과 연결되기 때문에 개방감이 높았을 것이다.

 

<동양상가아파트의 거실과 연결된 남쪽 부엌. 거실 쪽에서 촬영>

 

경남아파트 ; 거실이 없고 부엌에 식탁만 놓인다(DK). 대신 각 방으로 진입하는 문앞 공간이 넓어 결과적으로 부엌이 넓어 보이는 구조이다. 부엌 맞은 편 방 문이 두짝 미서기가 아니고 외짝 여닫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