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춰진 도시이야기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7

by 운무허정도 2020. 9. 28.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1) 사업구역 내 삶터의 흔적 - 5

 

● 공동우물

집 안으로 수도가 들어오기 전에는 모두 물을 길어 먹었다. 

자연적으로 솟는 약수터나 샘터의 물을 먹거나 아니면 우물을 팠다. 대개 사람들이 모여 사는 평지의 동리에는 그런 샘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우물을 파지 않을 수 없었다. 

드물게 집안에 우물을 판 경우도 있지만, 우물 파는 데는 비용도 많이 들고 또 아무데나 물이 나오는 게 아니기 때문에 대개의 우물은 공동이었다. 

우물이 있어야 사람들이 살 수 있기 때문에 마을이 형성되는 데에는 우물이 필수적이다. 

우물은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한다. 그 마을에서 가장 나이 많은 공간이 아마 우물일 것이다. 

우물은 공동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원적인 공간이다. 

그 우물물로 공동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 그들의 공동체적 의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공간이 우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마산에서는 1927년부터 추산정수장과 봉암수원지 공사를 해서 1930 5월부터 수돗물을 공급한 것이 시초이다. 하지만 당시 일부에게만 수돗물이 공급되는데 그쳤다. 

해방 이후에도 공업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시설부족으로 만성적인 수돗물 부족 현상을 겪었다. 

그러다가 1985년에 마산권광역상수도확장 1차사업이 완료되고 마산의 수도보귭율이 90%를 넘어서면서 물부족 문제는 해결되었다. 

하지만 그전에는, 불과 얼마 전만 하더라도 공동우물이나 개인 지하수나 간이상수도를 이용했다. 또 그보다 더 오래 전에는 거의가 공동우물을 이용했다.

사업구역 내에도 여러 군데 공동우물이 있었는데, 오래된 골목인 회원남29길과 노산서25길로 이어지는 주위 동네에는 네 군데의 공동새미(우물)가 있었다고 한다. 

마을에 수도가 들어오고 난 뒤에도 주민들은 이 공동새미의 물을 오랫동안 이용했다고 한다. 현재는 거의 막히거나 덮인 상태이다.

 

● 공장들

현재의 사업구역은 예전부터 오래된 주거지와 논밭으로 이뤄진 지역으로 공장은 거의 없었던 지역이다. 

과거에 이 구역에 있었던 공장으로는 우선 우피공장을 들 수 있다. 

현재의 회합교 주변의 대창고물상과 그 아래 주차장(교원동 21번지)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대에 있었던 큰 공장이었다. 

일제강점기인 1940 9, 일본인 시네마시(常松泰), 카미하루(上原作太郞) 등에 의해 자본금 195천 원으로 설립된 마산피혁흥업(馬山皮革興業())은 각종 피혁류의 제유(製鞣) 및 각종 원()모피 부산물을 가공 판매하는 회사였다. 

 

마산피혁공장에 대한 당시 보도 (부산일보, 1940.4.3.)

 

또 이 회사는 햄과 쏘세지를 만드는 돈육가공공장을 자매 회사로 설립해 운영하기도 했다(동아일보 1940 4 27일 기사). 

해방 후에도 마산피혁흥업이란 이름으로 운영하다가 1956경부터는 마산피혁공장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주로 소가죽과 돼지가죽을 가공 생산했는데 폐업 시기는 알 수 없다. 

한편 이 공장에서는 소가죽을 가공하여 공업용 아교를 생산하기도 했는데 동네 주민들은 이를 부리풀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현재 무학상가아파트 자리는 원래 요꼬 공장이 있던 자리였다. 요꼬는 일본어로 횡편, 즉 가로를 뜻하는데 편물기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직물을 짜는 것을 말한다. 

요꼬는 일반적으로는 스웨터 짜는 것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었다. 당시에는 요코를 짜는 가내공장이 교원동, 회원동 일대에 상당히 많았다고 한다. 

이 요꼬 공장은 꽤 큰 편이었다고 한다. 1978년에 이 공장이 헐리고 난 자리에 무학상가가 들어섰다.

무학상가 옆의 교원동 3-24번지와 3-25번지 일대에는 영일공업사라고 철공장이 있었는데 무학상가가 들어선 이후까지도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무학상가 지하에는 수정식품이라고 하는 콩나물공장이 지금도 콩나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 콩나물공장은 현재 사업구역 내에서는 유일한 공장이다. 

현재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분이 1981년경에 다른 사람이 하던 공장을 인수해서 지금까지 하고 있다고 하니 그때부터만 하더라도 34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콩나물 공장 자리는 원래 물이 많은 무렁논이어서인지 지금도 수량이 풍부해서 콩나물을 기르기에는 아주 좋다고 한다.

 

 무학상가

현재의 무학상가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에는 요꼬공장이 있었는데 그 공장을 헐어낸 자리에 지하 1층 지상 1층의 무학상가가 들어선 것은 1978년 3월이라고 한다. 

처음 상가가 들어설 때만 하더라도 주변에 시장이 없었기 때문에 분양이 잘 되었다고 한다. 상가 점포는 모두 39개였는데 쌀가게를 비롯해 생선장사, 식육점, 참기름집, 철물점, 잡화가게, 연쇄점 등이 들어왔다. 

처음에는 장사가 좀 되는 듯 했으나 회산다리 쪽에 시장이 생기고 하면서 차츰 장사가 잘 안됐다고 한다. 결국 세월이 지나며 가게가 하나둘 비게 되었고 상가 위에다 2층 3층의 아파트를 증축해 주상복합 건물이 되었다. 

한때 이 상가 지하는 민방위 대피소로도 쓰였다고 한다. 

현재 이 아파트에는 모두 16가구가 주소를 두고 있고 지하에는 수정식품이라는 오래된 콩나물 공장이 있다. 1층에 있는 칠원쌀상회라는 쌀가게는 37년째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다.

 

 목욕탕

사업구역 인근에서 가장 오래된 목욕탕으로는 교원동 26번지 하천가의 남일탕(대표 남현우, 남상발)이 아주 유명했다고 한다.

지하수가 좋다는 소문이 났던 남일탕은 몇 년 전에 헐리고 그 자리에는 노산 어린이집이 들어서 있다.

그 다음으로 교방동의 태양탕, 황금탕, 회원동의 주공탕 등이 들어섰다.<<<

 

이 글은 창원 소재 '도시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 펴낸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사업 ‘마을흔적보존사업 실행계획서(2017)’ 중 발췌한 것이다. 지금은 이미 고층 아파트 단지가 되어버린 이 재개발 지역의 변천과정과 그곳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