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우편국
명치 32년(1899년) 11월 26일 창원부 외서면 중성리(현 마산시 남성동 142 성남병원)에 그 당시 사정으로 부산우편국 마산출장소를 설치하고 우편과 일문(日文) 전보를 취급하다가 이것을 1902년 8월 1일 신마산 본정(本町) 서정목(西丁目)에 청사를 신축 낙성한 것을 시발로 구마산소(舊馬山所)와 완전 분리되었다가 마산국(馬山局)으로 승격했다.(1900년 4월 15일)
다시 1922년에 마산역 앞 일각(一角)으로 이전한 것이 현재의 사옥 그대로이다.
초대국장은 하합영길(河合英吉)인바 구역은 창원군 일부 구산면에서 내서면 봉암 등으로 시가지가 확장 됨에 따라서 창원군 3분의 1 범역(範域)을 미구(未久) 옹위될 가능도 없지 않을 만치 업무가 폭주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우편집배를 모두 본국에서 담당하고 있다.
구마산 우편소가 1913년 12월 19일 남성동 매축지에 국사(局舍)를 신축한 이후에는 본국과 동일한 업무로써 적행양우편물(赤行襄郵便物) 철도수송 및 인수, 우편물 수집 배달도 독자적으로 취급하였으나 해방 수년 앞두고 전신전화 취급 외는 전부 본국(本局)에서 인수하게 된 것이다.
<1902년 월남동 4가에 건축한 마산우체국>
54. 화장장(火葬場)
서원골(書院谷) 조금 못가서 왼쪽 고개 목에 세워진 부영(府營, 市營) 화장장은 1937~8년 경에 신축한 것인데 본래는 완월동 좌편 산언덕에 있었다.
완월동 화장장이 설치되기 전에는 인가에서 멀리 떨어진 들판에서 일본인 거류민의 사체를 다비(茶毘, 화장)로 처리하다가 점점 거류민이 증가함에 따라 1905~6년 경부터 전기(前記) 장소에 소규모의 목조건물을 세웠는데, 일본인 부락과는 거리가 멀어서 그네들에게는 적당했는지 모르나 하필이면 산자수명하고 마산만을 일모(一眸)에 조망할 수 있는 한인부락 코앞에다 설치했으니 남동풍이 불어올 때면 연돌(煙突)에서 우화등선(羽化登仙)(?)하는 연기의 악취는 이루 말할 수 없는 불쾌한 것이었다.
자자한 여론에 굴복한 후 부 당국은 드디어 지금의 장소로 옮긴 것인데, 30여 년간이나 비위를 참아온 한인의 강인한 인내력(?)도 그렇거니와 몰염치한 일본인의 소행은 얄밉기 짝이 없었다.
지금의 건물은 그들의 취향대로 된 것인데 중유연소식(重油燃燒式)으로 신장(新裝)했으며 전화도 그들이 기(忌)하는 422(시니니-日語-죽으려)번을 비치했으나 해방 후 시청 사회과로 옮겼다가 없어졌다.
이 부영(府營) 화장장이 신축 이전하기 전후로 그 옆에 마산불교진흥회가 관장하는 신목(薪木)을 사용하는 화장장도 있었다.<<<
<1936년 건축한 화장장 / 현 합포고등학교 부지>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형윤의 <마산야화> - 56, 의료기관 (0) | 2015.11.09 |
---|---|
김형윤의 <마산야화> - 55, 두 의사의 순직 (1) | 2015.11.02 |
김형윤의 <마산야화> - 53. 우편국, 54. 화장장 (0) | 2015.10.26 |
김형윤의 <마산야화> - 52. 돝섬의 전설 (0) | 2015.10.19 |
김형윤의 <마산야화> - 50. 금은 세공업 일람, 51. 장날과 골목 (2) | 2015.10.12 |
김형윤의 <마산야화> - 49. 공동우물 순역 (0) | 2015.10.05 |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5 4. 외관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2 5. 마치는 글 산업혁명 이후 노동자들의 숙소로 시작되었지만 당시..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5 4. 외관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2 1) 단지계획 2) 주동계획 가. 동선유형 주동의 동선유형은 주동..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5 4. 외관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1 주거환경은 기후와 지형 등 자연조건과 도로와 수목 등의 공공시설에..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6 1) 전면 폭 2) BAY 수 3) 실 구성 가. 공실(거실 Living, 식사실 Dining, 부엌 Kitc..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5 1) 전면 폭 2) BAY 수 3) 실 구성 가. 공실(거실 Living, 식사실 Dining, 부엌 Kitc..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4 1) 전면 폭 2) BAY 수 3) 실 구성 가. 공실(거실 Living, 식사실 Dining, 부엌 Kitc..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3 2) BAY 수 대규모 단위주거가 아니라면 BAY 수가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대원2지역이 건축되었던 1980..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2 우리나라의 경우 초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위주거 조합방식이 나타났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편복도형식과 계단실형식..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 1 아파트의 기원은 산업혁명 이후 도시로 집중하는 노동자들의 숙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집단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 3 앞에서 본 것처럼 창원신도시의 계획과정에서 제시되었던 원칙들은 어디 내어놔도 손색이 없을 만큼 훌륭한 내용들이다. 이러한 최초의 의도는 건설과정에서..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 2 창원 신도시에 주거용 건물이 본격적으로 건설된 시기는 1980년대였다. 대부분 단독주택으로 민간사업자들이 주도한 조적조 2층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였으..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 1 수혈주거로 시작된 인간의 거주양식이 드디어 아파트라는 형식에까지 도달했다. 생활에 필요한 내외조건의 변화에 따라 인간은 달라졌고 인간의 삶을 담았던..
<이번 포스팅은 창원 의창구 대원동에 재건축 중인 '꿈에그린' 아파트 부지(아래 그림의 붉은 밑줄친 부지)에 존재했던 현대사원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아파트들에 대한 내용이다. '마을흔적'을 남기기 위해 정리했던 글이다.> 목차..
Ⅳ. 맺음말 이 글에서 우리는 1960년 3월 15일 마산에서 일어난 1차 시위에 참가한 하상칠이라는 특정 개인의 경험에서 도출된 다음 두 가지 의문에 답하고자 노력했다. 하나는 시위 참가 동기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
1. 그는 왜 시위에 직접 참가했던가 2. 그는 왜 그토록 오랫동안 침묵했던 것일까 1) 보복 공포와 빨갱이 트라우마 2) 증언 결심 동기 하상칠은 그동안 증언을 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그날 밤 내 혼자만 싸웠던 것도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