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624

고지도로 보는 창원 12. - 칠원현 輿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2. - 칠원현 여지도(輿地圖) ● 漆原縣 輿地圖(古14709-68)輿地圖》(古4709-68)/ 필사본(회화식) 본 지도는 《해동지도》를 필사한 것이지만 동일하게 필사되지는 않았다. 전체 지도의 구성은 해동지도처럼 산계 및 수계를 구성하고 읍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건물을 묘사하였다. 읍성을 중심에 크게 표현하고 내부의 관아의 배치를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해동지도와 달리 읍성에서 면이나 인접 군으로 향하는 도로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읍성을 중심으로 남측에 상리면, 북면과 서면 그리고 구산면으로 4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구산면은 칠원에서 20KM 이상 떨어진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도에는 인접한 상태로 표기하였다. 읍성내 건물배치는 전면에 아사, 후면에 객사와 창 좌측에 택승정.. 2017. 6. 19.
고지도로 보는 창원11. - 진해현 輿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1. - 진해현 여지도(輿地圖) ● 鎭海縣 輿地圖(古14709-68)輿地圖》(古4709-68)/ 필사본(회화식) 본 지도는 《해동지도》를 필사한 것이지만 동일하게 필사되지는 않았다. 전체 지도의 구성은 해동지도처럼 산계 및 수계를 구성하고 읍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건물을 묘사하였다. 읍성을 중심에 크게 표현하고 내부의 관아의 배치를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해동지도와 달리 읍성에서 면이나 인접 군으로 향하는 도로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읍성내에는 4동의 건물이 있다. 객사와 아사(관아) 및 창고가 있으며, 출입문은 남측에 1개만 표기되어 있다. 읍성을 중심으로 우측의 동면은 생략된 채, 북면과 서면 2개의 면만 표기되어 있다. 읍성 오른쪽의 하천은 현재 태봉천에 해당되며, 좌측에 3개의.. 2017. 6. 12.
고지도로 보는 창원10. - 웅천현 輿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0. - 웅천현 여지도(輿地圖) ● 熊川縣 輿地圖(古14709-68)輿地圖》(古4709-68)/ 필사본(회화식) 본 지도는 《해동지도》를 필사한 것이지만 동일하게 필사되지는 않았다. 전체 지도의 구성은 해동지도처럼 산계 및 수계를 구성하고 읍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건물을 묘사하였다. 읍성을 중심에 크게 표현하고 내부의 관아의 배치를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해동지도와 달리 읍성에서 면이나 인접 군으로 향하는 도로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웅천읍성(웅동 일대)을 중심으로 주변을 표기하였다. 읍성내에는 7동의 건물이 있다. 객사와 창(창고, 아(관아)가 있으며, 사방으로 동문, 서문, 남문, 북문이 배치되어 있다. 읍성을 중심으로 읍성 아래측에 읍내면, 동면, 경화동 일대는 중면이 있으며 여.. 2017. 6. 5.
고지도로 보는 창원9. - 창원부 輿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9. - 창원부 여지도(輿地圖) ● 昌原府 輿地圖(古14709-68)輿地圖》(古4709-68)/ 필사본(회화식) 여지도는 총 6책으로 구성된 전국 군현지도책으로 제1책에 遼薊關防地圖와 盛京輿地全圖, 제6책에 朝鮮女眞兩國國界圖가 첨가되어 있다. 지도는 364장, 주기는 341장으로 총 70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지도가 《해동지도》를 필사한 것이지만 동일하게 필사되지는 않았다. 전체 지도의 구성은 해동지도처럼 산계 및 수계를 구성하고 읍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건물을 묘사하였다. 읍성을 중심에 크게 표현하고 내부의 관아의 배치를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해동지도와 달리 읍성에서 면이나 인접 군으로 향하는 도로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창원읍성(도계동 일대)을 중심으로 주변을 표기하였다. 읍.. 2017. 5. 29.
고지도로 보는 창원8. - 칠원현 비변사지도 ▮ 고지도로 보는 창원8. - 칠원현 비변사지도 ● 漆原縣 備邊司印方案地圖(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칠원현은 현재의 함안군 칠원읍, 칠서면, 칠북면 지역에 해당된다. 칠원현이 현재의 창원시 지역과 연관이 있는 것은 구산면 때문이다. 구산면은 실제 현재의 칠원읍에서 지도상 남측으로 20KM 이상 떨어진 곳임에도 불구하고 칠원현 행정구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것이 궁금하다. 칠원현의 읍치는 현재 칠원초등학교 주변일대이다. 이곳을 중심으로 주변을.. 2017. 5. 22.
고지도로 보는 창원7. - 진해현 비변사지도 ▮ 고지도로 보는 창원7. - 진해현 비변사지도 ● 鎭海縣 備邊司印方案地圖(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3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동면, 북면, 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읍성 오른쪽 용소천 건너 동면에 향교와 도만산에 가을포봉대가 있으며, 하천 상류에 경산이 있다. 읍치 좌측 황산천 건너 사단이 있으며, 상령역, 해안방향으로는 함안해창과 선소가 있다. 고성계 근처에 통도청이 있다. 주변 자연지형은 고성계 방향으로 .. 2017. 5. 15.
고지도로 보는 창원6. - 웅천현 비변사지도 ▮ 고지도로 보는 창원6. - 웅천현 비변사지도 ● 웅천현 비변사지도(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5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읍내면, 동면, 중면, 상서면, 하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읍성 주위에 향교, 려단과 사단, 향교가 있으며, 아래로 보평역, 제포진, 성황단, 남산 고왜성, 읍선소, 제선소가 있으며, 동면 방향으로 청천진, 안골진, 신문진과 진두원과 왜고첩이 있다. 남측 가덕도에는 가덕진과 천성진이 있으며,.. 2017. 5. 8.
고지도로 보는 창원5. - 창원부 비변사지도 ● 창원부 비변사지도(1745~60) (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이 지도책의 가장 큰 특징은 사각형의 方案 위에 지도를 그렸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안의 사용은 위치·거리·방향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그리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정확한 거리산정을 통해 이동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의도에서 제작되었다.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邑治의 경우 분홍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의 직사각형으로, 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의 직사각형으로, 驛은 짙은 살구색 바탕에 청색.. 2017. 5. 1.
고지도로 보는 창원4. - 칠원현 해동지도 ● 칠원현 해동지도(1750) 칠원현의 범위는 현재의 함안군 칠원읍, 칠서면, 칠북면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지역에 해당된다. 칠원현이 현재의 창원시 지역과 연관이 있는 것은 구산면 때문이다. 구산면은 실제 현재의 칠원읍에서 20KM 이상 떨어진 곳임에도 불구하고 칠원현 행정구역에 포함되어 있었다. 진해현에 인접한 곳임에도 내륙에 있는 칠원현에 포함된 특수한 사정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별도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칠원현 읍성은 현재 칠원초등학교 일대 및 주변에 있었던 성이다. 주변의 지형은 읍성 북측으로는 무릉산이 동측으로 청룡산과 천주산에 면해 있다. 행정구역은 읍성을 중심으로 남측에 상리면, 북면과 서면 동측으로 한참 떨어진 곳에 있는 구산면을 포함해서 4개의 면으로 나누어져.. 2017. 4. 24.
고지도로 보는 창원3. - 진해현 해동지도 ● 진해현 해동지도(1750) 진해현은 현재의 마산합포구 삼진(진동, 진전, 진북)지역에 해당된다. 지도의 중심에 진해현 읍성(현재 진동초등학교 일대)을 배치하고, 하천으로 구획된 지역을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읍성내에 아사와 객사 건물 2동이 있으며, 출입문은 동문, 서문, 남문 3개가 있다. 읍성을 중심으로 오측에 동면, 서측으로 북면과 서면으로 3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읍성 오른쪽의 하천은 현재 태봉천에 해당되며, 좌측에 3개의 천은 진동천, 덕곡천 및 인곡천에 해당된다. 공공건물은 태봉천 상류에 문묘가 있으며 진동천과 덕곡천 사이에 사직단이 있으며, 현재 진동면 고현리 일대에 해당하는 해변에 정자(대변정)이 표기되어 있다. 주변의 지형은 북서측 칠원방향으로 경산이 있으며, 진주방향으로 여.. 2017. 4. 17.
고지도로 보는 창원2. - 웅천현 해동지도 ● 웅천현 해동지도(1750) 고지도상의 웅천현 지역은 구. 진해시 일대을 말하며, 웅천현의 명칭은 본래 신라의 웅지현으로 경덕왕이 이를 고쳐 웅신현으로 고쳤으며, 고려시대에는 웅신현과 완포현으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조선조에 경상도의 육군편재 개편시 김해진 관할의 편제에 소속되었으나 지방관이 파견되는 않는 작은 마을이었다. 조선시대 군사조직 편제의 개편에 따라 육군편제에서 종6품의 지방관이 파견되는 웅천현으로 승격되었으며, 뿐만 아니라 수군의 병선이 주둔하는 정박지로 제포만호가 설치된 지역이다. 웅천읍성(웅동 일대)을 중심으로 주변을 표기하였다. 읍성내에 ‘웅천현’라고 적혀있으며 2동의 건물이 있다. 좌측에 아사, 우측에 객사, 우측 아래에는 감옥(옥)이 있으며, 사방으로 동문, 서문, 남문, 북문이 배.. 2017. 4. 10.
고지도로 보는 창원1. - 창원부 해동지도 오늘부터 매주 월요일 포스팅될 주제는 조선후기 창원지역의 고지도를 소개하고 해제하는 것입니다. 준비는 신삼호 건축사가 합니다. (주)유에이건축사사무소 대표이면서 경남건축가협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한 신삼호 건축사는 건축작품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중견 건축가입니다. 자료는 신 건축사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접하게된 것들이며 분량은 약 20 회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본 글을 정리하는 목적은 조선후기 창원시 지역의 도시경관을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방법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군현지도의 분석과 해제이다. 고지도에는 풍부한 지리정보와 인문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 2017. 4. 3.
김형윤의 <마산야화> - 마지막회, 저자를 회고하면서 2015년 3월 23일 시작해 이번 회까지 만 2년 동안 포스팅한 목발(目拔) 김형윤 선생의 「마산야화(馬山野話)」143꼭지가 이번 회로 끝납니다. 지나간 시절 마산사회와 마산 사람들을 추억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음 주부터 연재될 포스팅은 신삼호 건축사가 준비합니다. (주)유에이건축사사무소 대표 신삼호 건축사는 건축작품활동도 활발하지만 도시와 건축의 역사에도 관심이 많아 부산대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논문 준비 중입니다. 블로그에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논문 준비과정에서 접하게된 여러가지 자료들을 소개하고 해석하는 형식이 될 것이며 분량은 약 20여 회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 회, 저자를 회고하면서- 조병기(趙秉基) 김형윤 공은 1903년 마산시 서성동에서 김양수.. 2017. 3. 27.
김형윤의 <마산야화> - 142. 영불의 함대 입항 142. 영·불(英·佛) 함대 입항 1920년 여름, 안남(安南, 월남)에 있는 불함(佛艦)이 마산 저도 좌편 안쪽에 투묘(投錨)했다가 삼일 후에 출항한 뒤를 이어, 상해에 주둔하고 있는 영함(英艦) 호오킨스호가 동도(同島) 훨씬 뒤편 마산 바로 앞면에 정박했다. 이들 영·불 양 극동 함대가 진해 해군기지에 들르지 않고 마산만으로 들어온 것은 어디까지나 일본과의 친선을 위한 단순한 의례적 순방이라 했지만, 그들이 일본 육해군의 중요한 요새지인 이곳에 온 근본 저의를 번연히 알고 있는 일본군 당국자들은, 과거 동맹국으로 국제 친선의 예방인 만큼 속으로는 앓고 있으면서도 표면상으로는 환대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었다. 이 두 함대가 거제 수도(水道)에 나타나기 직전, 진해 해군기지에서는 연막을 쳐서 군항의 .. 2017. 3. 20.
김형윤의 마산야화 - 141. 개항과 각국 영사관 141. 개항과 각국 영사관 강화조약에 의해 부산, 원산, 인천이 개항된 후 다음과 같이 항구와 시장이 개방되었다. 부산 개항(開港)·개시일(開市日) ; 고종 13년(1876) 10월 14일(일본에게) 고종 20년(1883) (다른 조약국에) 인락(認諾)의 형식 ; 한·일 수호 조규(條規) 해관개설일(海關開設日) ; 고종 20년 11월 거류지 ; 일본 전관(專管) 거류지, 청국 전관(專管) 거류지 원산 개항(開港)·개시일(開市日) ; 고종 17년(1880) 5월(일본에게) 고종 20년(1883) (다른 조약국에) 인락(認諾)의 형식 ; 한·일 수호 조규(條規) 해관개설일(海關開設日) ; 고종 20년 11월 거류지 ; 일본 전관(專管) 거류지, 청국 전관(專管) 거류지 인천 개항(開港)·개시일(開市日) ;.. 2017. 3. 13.
김형윤의 <마산야화> - 140. 마산포와 열강 140. 마산포와 열강 1901년 노국은 북청(北淸)사건을 이용하여 만주에 군사적 관리권을 확립했다. 1902년에는 동청(東淸)철도도 개통되고 1903년에는 시베리아 철도의 본선도 완성되었다. 노국의 경제적 세력은 광산, 기타 사업에 융자하기 위한 노청(露淸)은행의 설립에 따라 더욱 강화되었다. 이 노청(露淸)은행 자본금 1천 5백만 루불은 1895년 말 대 중국 자본 수출을 목적하고 불국(佛國) 금융자본과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식민은행이었다. 청·일전쟁 후 노국이 대일 배상금 지불 제1회의 인수를 맡아 점차 상해를 비롯하여 일본의 장기(長崎)지점 수표로 조선정부에 납입되었고, 마산포 개항 후 이 거대한 투자는 노청은행의 전통적인 금융자본이었다. 그 뒤 이 노청은행의 자매 은행이 노국의 유류, 사탕 등을 .. 2017. 3. 6.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9. 노일전쟁과 율구미 139. 노·일(露·日) 전쟁과 율구미(栗九味) 노국의 조계지인 율구미는 1903년 1월 5일을 마지막으로 노국 수변 8명이 철수한 후에는 공지화되었다. 이를 그냥 둘 수 없어 노국 영사 카자코브는 치지코브라는 자에게 그곳을 관리 시켰다. 관리 조건은 마산포에 입항하는 노국 군함에 공급할 용수정(用水井) 하나를 마련할 것과 산에 감시인을 두기로 하고 매월 10원씩 주던 것을 무급으로 하되 한국인에게 소작을 시켜 수확된 절반을 취득케 하였다. 노일 전쟁이 일어나 1월 8일 치지코프가 마산포를 철수할 때 그가 가졌던 상품을 일본인 강기(岡崎)라는 자에 매도한 것이 연고가 되어 율구미 조계지를 이 강기(岡崎)가 관리했다. 또 부산에 살던 일본이 강본(岡本)이라는 자가 로인(露人)과 친했기 때문에 치지코프로부터.. 2017. 2. 27.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8. 신상회사와의 투쟁 138. 신상회사(紳商會社)와의 투쟁 신상회사(紳商會社) 혁파 투쟁은 국내 본건지배층에 대한 투쟁이지만 외세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또 마산항민들의 저항심의 성장을 고찰하는데 의의를 가진 투쟁이기 때문에 여기 서론(叙論)코자 하는 바이다. 구마산은 그 입지적 조건이 영남의 인후(咽喉)의 역할을 한 요지로 특히 경남 일대에서는 고래로부터 물산의 집산지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개항 이전부터 상업자본이 상당히 축적되어 있는 곳으로 일성록(日省錄)을 보면 순조 33년(1833) 마산포(구마산)의 객주 총계가 130호나 되었던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902년 구마산의 시장권을 빼앗으려던 일인들과 투쟁하여 빛나는 승리를 거두게 된 재정적 배경은 역시 구마산 상인들의 자본의 힘이다. 마산포가 개항된 .. 2017. 2. 20.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7. 노·일(露·日) 마산포 경영 137. 노·일(露·日) 마산포 경영 노·일(露·日) 양국인의 마산포 경영에 대하여서는 일본 외교문서 제33권에 당시 마산 일본 영사 판전중차랑(坂田重次郞)이 일본 외무대신에게 한두 가지의 보고 즉 마산포에 있어서 노국간의 경영 비교의 건(1900년 11월 30일자)에 있다. 여기서는 이를 중심으로 기타를 참고하면서 노일 양국 간의 마산포 경영을 비교해 본다. 노국 측이 조선 측과 ‘율구미호약(栗九味互約)’을 맺고 율구미 소유지 교환문제로 노일 외교가 무르익어가고 있을 때 노국 상인들의 마산포 진출과 아울러 그 상업 경영도 한창이었다. 1900년 8월 1일 현재 노인(露人) 또는 노국 세력을 배경으로 한 사람들과 기타 외국인이 마산포에 온 지주 또는 상인들로서 그 상업 자본가는 우라지밀 미센코, 도부잔산.. 2017. 2. 13.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6. 1900년대의 국제관계 136. 1900년대의 국제 관계 청일정쟁으로부터 노일전쟁에 이르는 시기는, 세계적으로 자본주의가 최고의 단계인 제국주의 단계로 이행하던 시기로 이 시기의 시대적 특징인 극동에 있어서는 제국주의 열강의 대립의 심화와 그 확대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시기는 나이 어린 제국주의 열강(일본, 독일, 미국)이 식민지 쟁탈전의 무대로 등장함으로써 국제 발전 관계에 새로운 역사적 시대를 열게 되었고, 불균등 발전 법칙에 의한 이 같은 자본주의 제국의 급속한 진보는 특히 침략적인 이러한 여러 나라의 정책을 규정하였던 것이다. 청일 전쟁 전 청국의 발전단계는 겨우 근대적 산업의 발생을 보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해체기에 있는 봉건사회가 그 반식민지 상태에서 절대주의로 전형(轉形)을 보이는 것뿐으로 그 기본.. 2017. 2. 6.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5. 진해만의 군항 건설 135. 진해만의 군항 건설 1. 국토의 약탈과 국민생활 제재(制裁) 일본은 노일전쟁 전에 거제도 일대(송진포松津浦 / 원문에는 송포진)를 근거로 어업 이권을 독점하고 있던 중 일본 대노국(對露國)간에 전쟁이 일어나자 군사적 근거지로 획정하여 우리 국민들의 가옥을 철거하게 하고 전답을 점령하였다. 광무 8년 9월에 그들은 소위 해군 방위대 본부를 거제군 송진포에 두고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대일본 가근거지(假根據地) 방비대 군령을 공포(광무 8년 9월 27일 감시 보고 제58호에 의거)하고 우리 국민의 생활에 제재를 가하였다. 방비대 군령 대일본 해군 방비대 사령관이 군대를 안전케 보지(保持)함을 위하여 각하(刻下)에 긴급한 좌개군령(左開軍令)을 제정하여 지실(知悉)게 하니 이등(爾等).. 2017. 1. 30.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4. 매축권과 대일 투쟁 134. 매축권(埋築權)과 대일(對日) 투쟁 구마산포는 옛날부터 농수산물의 집산지로서 중부 경남의 인후(咽喉)에 해당되는 기능을 가진 요지로 발달해 온 곳이었다. 망국의 낌새가 스며들던 한말, 마산의 토지소유권을 비롯한 모든 이권이 노·일 양국의 각축과정에서 외인(外人)의 손아귀로 넘어가는 가운데서도 구마산 항민(港民)들은 꾸준히 그들의 상권을 투쟁으로 수호 유지해 왔다. 이러한 투쟁의 현실적인 뒷받침은 물론 축적된 상업자본의 힘에서 온 것이지만, 이러한 것이 인(因)이 되고 과(果)가 되어 더욱 상업자본이 축적되어 갔고 그 결과 일본 상인들에 대해서도 투쟁의 현실적인 실력을 갖추어 가게 되었던 것이다. 외인(外人)이 본격적으로 도래하기 시작한 개항 이후 그들이 노리는 중요한 이권 가운데 하나가 창탄(漲.. 2017. 1. 23.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3. 노공관의 점유지 133. 노공관(露公館)의 점유지 1899년 노서아와 일본 정부가 마산에 해군 근거지를 두려고 각축전이 치열했는데 노서아는 서부 마산에 조차 조약을 체결한 뒤 지금의 일성 펌프공장 자리에 영사관을 두고 백조악기점 자리에는 관사를 두었다. 그리고 신마산 공설시장 역내 대지 86번지 동 87, 동 88, 동 72-9, 동 72의 2, 동 72의 17, 동 72-12 등 7개소를 점유하여 지금도 등기상 노서아의 소유가 되어 있으므로 한국인의 공유(公有)나 이유(利有)가 불가능하며 국립요양원 뒷산에는 로인(露人) 묘지 2봉(封)이 있었는데 지금은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2017. 1. 16.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2. 아라사 함대 입항 132. 아라사 함대 입항 아라사(노국의 별칭) 함대가 마산포에 투묘(投錨)한 것은 1899년(광무 3년, 명치 32년)이 처음이었다. 주한공사인 파브로프가 탑승한 군함 만츄리아 호가 인천에서 일본 장기(長崎)를 거쳐 상해로 간다 하고는 줄곧 마산으로 들어왔다. 그 뒤를 이어 같은 동양함대 사령장관 마카로프가 좌승(座乘)한 루리크호 외 한 척과 합류했다. 그들은 마산만을 중심으로 일대의 해심과 연안을 상세하게 측량하고 군사상 필요한 육지를 구획, 포목을 꽂았다. 그들은 광대한 토지를 점거하여 용암포와 같이 해군의 근거지로 삼으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해군 반거지(蟠據地)로 타정(唾涏) 삼척(三尺) 욕심을 갖고 있는 일본이 한국정부를 위협하는 동시에 강경하게 노국에 항의한 경과 그들의 계획은 .. 2017. 1. 9.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1. 자복포의 매수 각축 131. 자복포(滋福浦)의 매수 각축 조선정부와 영·독(英·獨, 1883년 11월 26일 체결), 아국(俄國, 1884년 7월 / 원문에는 1885년 10월 24일 체결), 의국(義國, / 해방 후 미국을 의국이라 칭하기도 했다. 미국과의 조미수호조약은 1882년 5월에 체결되었다-옮긴 이 / 본문에는 1886년 체결 ), 불국(佛國, 1886년 6월에 체결 / 본문에는 1887년 5월 30일 체결) 사이에 체결된 영·독·아·의·불(英·獨·俄·義·佛) 조약 제4관 4절을 보면 여모인욕행영조혹잠조지단임구방옥(如某人欲行永租或暫租地段賃購房屋) 재조계이외자(在租界以外者) 청유상생조계불득(聽惟相牲租界不得) 유십리조선리(逾十里朝鮮里) 이조차항지단지인(而租此項地段之人) 어거주(於居住) 납세각사(納稅各事) 응행일율준수.. 2017. 1. 2.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0. 신간회 130. 신간회(新幹會) 3·1운동이란 약소민족 해방의 봉화가 계림팔도에 팽배함에 이어, 일본 여러 곳 대, 소 전문학교의 유학생들은 어느덧 사회주의 사상에 침투되어 그 격랑은 드디어 극동 전역을 석권하는 판도가 되었다. 순순하고 열렬한 민족주의자의 단일 전선에 ‘소비에트 러시아’의 국제 공산당은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지하 근거지로 발화시켜, 이 불꽃으로 민족 전선에서 속속 이탈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이루스쿡크’파 여운형의 고려 공산당 같은 것이며, 내지에서도 이들 수배(數倍)의 선풍이 농민운동, 노동조합 부녀동맹, 청년동맹 심지어 소년소녀동맹, 독서회 등 수십 개의 관계 단체에도 휘몰아쳤다. 때가 소비에트의 ‘콤민테룬’의 지령에 움직이고 있는 때라, 민족주의라는 보수적 고첩(孤疊)에 고민하고 있는 .. 2016. 12. 26.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9. 애국 여성들 129. 애국 여성들 여기에 소개하는 애국 여성은 대한제국에 대하여 애국을 했다거나 대한민국에 대하여 충성을 한 여성을 말함이 아니다. 일정시대에 일본의 잔학한 군국주의자에게 충성을 다한 여성을 말함이다. 일정시대에 그자들에게 충성한 자가 하필 여성 뿐이리오마는, 여기에 뫼시는 세 사람 여성은 그들의 생리처럼 다른 사람이 하지 못하는 ‘애국심’을 발휘하는데 이름이 높았다. 지금 회고해 보면 그때 신문들이 하도 극성스럽게 그들의 애국심을 과시(?)해주었기 때문에 인상이 생생하다. 진주부내 모 권번(기생들의 대기소-편자 주 / 민족항일기의 기생조합-옮긴 이)에 입적한 강모라는 기생은 매월 8일 즉 대조봉대일(大詔奉戴日, 진주만 공격의 날, 즉 일본 천황이 대미선전포고의 조칙詔勅을 내린 날-편자 주)이 되면 .. 2016. 12. 19.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8, 신인회 탄생 128. 신인회(新人會) 탄생 한국에 사회주의사상이 들어온 것은 1919년 3·1운동 후이다. 바다 건너 일본에는 반드시 사회주의라고는 할 수 없으나 명치 조기에 양행(洋行)한, 즉 구라파로 갔던 사람들 중에 서원사공중(西園寺公重)이나 복택유길(福澤諭吉)같은 사람은 루소의 민약론(民約論)에 크게 영향을 받아서 일본에 신사상의 선편(先鞭)을 친 사람들이다. 일로(日露) 전역(戰役) 때에는 유명하였던 만조보(萬朝報)라는 신문사에 사주 흑암누향(黑岩淚香), 신덕추수(辛德秋水), 내촌감삼(內村鑑三), 안부기웅(安部磯雄), 석천삼사랑(石川三四郞), 편산잠(片山潛), 계리언(堺利彦) 등등 당대에 쟁쟁한 논객들이 톨스토이의 비전론(非戰論)에 호응하여 반전론을 강조한 범사회주의 시대도 있었지마는, 러시아에 공산당이 집.. 2016. 12. 12.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7. 청년들의 방역운동 127. 청년들의 방역(防疫) 운동 1920년 (원문에는 1929년으로 되어 있지만 본문의 여러 정황으로 보아 대정 9년인 1920년으로 추정되어 바로 잡음) 즉 일치(日治) 대정 9년 8월경에 마산시내를 엄습한 콜레라로 인해서 아침에 만난 사람이 저녁이 되면 피병원(避病院, 격리병원)으로나 묘지로 가고 만다. 1918년에 전 세계를 휩쓴 ‘이스파니아’ 독감의 맹위에 굴복된 민중들은 환자가 발생하면 약보다 기도하는 것이 만배 이상의 효능이 있다는 미신이, 현대의 예방치료나 과학을 억누르고 집집마다 샤머니즘에 젖어서 밤이나 낮을 가리지 않고 야단법석을 떨었다. 여기에 호역(虎疫)의 예방주사 같은 것도 일본인의 병원에는 편협한 민족 감정으로서 고의로 한인 환자에게는 차별을 하고, 심지어는 절명케 한다는 최극.. 2016. 12. 5.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6. 일간 신문지국 126. 일간 신문지국 일문 - 경성일보, 조선신문,상공일일신문(이상 서울), 인천매일신문, 중도일보(대전), 대구일보, 대구민보, 시사신문(부산), 부산일보, 마산신문(창간 직후 폐간), 남선일보, 대마산신문(下關-남선일보 대항 수일간 폐간), 대판조일신문, 대판매일신문, 복강일일신문(福岡日日新聞), 만조보(萬朝報, 동경 폐간), 그리고 운송해 온 일문일간지 평양매일신문, 압강일보(鴨江日報), 목포일보, 전주신문, 함흥일보, 원산매일신문 등이다. 국한문지 - 매일신보, 경남일보(창간 12년에 폐간),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중앙일보, 조선중앙일보(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살사건으로 폐간), 국민신보(사주 민원식-동경철도호텔에서 핀일파로서 피살- 창간 직후 폐간) 등등인 바 경성일보, 매일신보가 총독.. 2016.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