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1912) - 3. 시가지
3. 시가지 진해 일대의 지세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으나, 시가지 지형이 어떻게 생겼느냐 하면, 서북에서 동북에 걸쳐 산맥이 있고, 서남에는 재등만이 있으며 동북은 행암만을 바라보고 있다. 북광소로(北廣小路, 기타히로코지, 北辻, 기타츠지로도 불렸으며, 현 북원로터리를 가리키는 말)에서 관사 지역인 앵전통, 사쿠라다도오리)을 따라 원산(圓山, 円山, 마루야마, 진해공립심상고등학교가 있던 현 도천초 지역과 진해헌병분대의 나무가 울창했던 구릉지역을 가리킴)을 왼쪽으로 보면서 동남쪽으로 몇 정(町, 60間으로 약109미터를 말함)을 가면 진수부(鎭守府, 현 해군진해기지사령부를 말하는 것으로 진수부 설치가 예정되었음)부지에 도달한다. 두산(兜山, 가부토야마, '투구모양처럼 생긴 산'이라는 의미에서 가부토야마로 ..
2024. 12. 9.
『마산과 진해만』(1911) 제2장 「진해만」 - 제6절 사사노공장(笹野工場)
제6절 사사노공장(笹野工場) 사사노 진시로 씨는 제국해군이 필요로 하는 소고기, 생선고기 통조림 수백만 개 중 그 절반을 충당하는 일대세력가다. 그는 본점을 도쿄 후쿠가와 모토마치에 두고 명치 41년(1908)부터 진해만 일대의 장래성에 착목해, 거점을 군항의 관문인 비봉에 정해 기간지(旣墾地, 이미 개간하여 놓은 땅을 이르는 말) 45정보(町, 1정보는 9,917.35537㎡로 45정보는 446.280.99165㎡에 해당되므로 135,000평을 말함. 한 평은 약 3.3m²) 남짓 그리고 미간지 137만여 평을 부근 12개 동에 걸쳐 조차했다. 또한 재작년 명치 42년(1909) 7월부터 제반 설비를 비롯하여 택지 2,093평에 36동, 총건평 1,044평의 건축을 완료했다. 목축, 통조림, 정미농업,..
202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