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51

건축의 진화 - 2012세계여수박람회 주제관 오는 5월 12일 개관하는 2012세계여수박람회의 주제관을 설계한 오스트리아 건축가 Gunther Weber(퀸테르 베베르)의 강연이 창원대학교에서 있었습니다.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구조물'이라는 주제로 여수박람회 주제관 및 'SOMA'에서 설계한 몇 작품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2009년 국제현상설계를 통해 당선된 주제관은 독창적인 외관으로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충분한 자료가 없어 저또한 궁금하던 차에, 건축가에게 직접 설명을 듣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강연을 듣는 내내 건축은 과연 어디까지 진화할것인가 라는 의문이 머리속을 맴돌았고 현재시점에서 진화의 끝에선 건축을 가까이서 만난다는것은 참 행운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름다운 외관, 자유로운 구조, 새로운 소재, 환경에 대한 고민 등 무엇하나 놓.. 2012. 5. 9.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8) - 강점제2시기 1929년 5월 24일 구 고려모직 뒤편으로 회원천 하류에 이르는 오동동 2-1번지와 15-1에 새롭게 총 면적 2,117평이 조성되었는데 그 중 대지가 1,615평이었습니다. 다른 자료에서는 1,692평이라고도 하는데 1,615평은 정부기록보존소의 자료에 의한 것입니다. 매립 신청 초기에는 이보다 면적이 약간 작았으나 설계변경을 거치면서 이 규모로 확정된 것입니다. 이 매립에 대해서는 정부기록보존소에서 찾은「공유수면관계서류」의 「문서번호87-352, 필름번호87-625」를 참고하였으며 서류에는 아래와 같은 도면이 첨부되어 있었습니다. 이 매립은 당시 자산동 119번지 소재 야마다(山田)장유양조장(현 몽고간장)의 사주 산전신조(山田信助)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서류에 나타난 매립의 목적은 ‘택지조성’이었으.. 2012. 5. 7.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9)난방 : Active 태양열에너지 시스템 Active 태양열에너지 시스템 주택내 온수급탕뿐만 아니라 환기공기의 예열이나 공간난방용으로 활용됩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Active태양열에너지 시스템은 주택내 온수급탕입니다. Active 태양열시스템의 주용 구성요소는 집열단위, 집열단위로부터 저장단위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순환시스템, 저장탱크 및 제어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이는 열사이펀시스템, 직접순환시스템, 간접순환시스템 및 공기대 물 시스템의 네가지로 분류됩니다. 다음 그림은 드레인백(Drain Back)방식에서 태양열 시스템 구성요소와 일반적 배치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열 사이펀시스템에서는 집열기에서 가열된 유체가 대류에 의해 상승하여 저장탱크로 이동하게 됩니다. 별도의 펌프작업이 요구되지 않지만 액체이동과 열이동은 액체 온도에 좌우되게 .. 2012. 5. 4.
1930년 3월 10일 진해 대화재와 덕환관음사 이야기 ● 얼마전 진해소사마을 '김씨박물관' 김현철관장님이 책을 한권 건네 주었다. 자기는 일본말도 잘 모르고, 신선생이 진해에 관심이 많으니 보라고 준 일본책의 제목은 이였다. 책의 출판연도는 1993년이며, 출판사는 朝日選書에서 문고집판으로 622번에 해당되는 책이었다. 작가는 竹中友康이라는 사람으로, 군항도시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해서 직접 진해에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일제강점시기의 진해역사를 정리한 책이었다. 나 역시 일본어를 잘 모르지만 대충 보면서 눈에 띄는 건물이 하나있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현재에 진해 천리교 교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德丸觀音(덕환관음)본당과 '진해 대화재'에 관한 사건을 소개하고자 한다. ● 화재의 발단은 지금으로부터 82년전인 1930년 3월 10일 오후2시였다. 이 날은 .. 2012. 5. 2.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7) - 강점제2시기 신마산에 오래 동안 살아온 일본인 목재상 목가전평삼랑(目加田平三郞)과 국종웅일(國宗雄一) 두 명이 시행한 매립입니다. 공사는 우리나라 경부선 철도부설공사에 참여한 후 재계에 두각을 나타낸 서울의 토건업자 황정초태랑(荒井初太郞)에게 의뢰하였고, 1926년 해면 매축 사업에 착수하여 1928년 12월 21일에 준공하였습니다. 이 매립에 대해서는 정부기록보존소에서 찾은「공유수면관계서류」의 「문서번호87-193, 필름번호87-560」을 참고하였으며 서류에는 아래와 같은 도면이 첨부되어 있었습니다. 위치는 현재 경남은행 신마산지점 남쪽 건너편 일대입니다. 세분해보면 옛 마산도기 및 진일공업사 등이 있던 월남동 1가 5번지에서 46번지의 1에 이르는 4,663평을 비롯해서 전 유원연탄 및 그 주변일대와 전 항등여관.. 2012. 4. 30.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8)난방: 독립획득 직접획득, 간접획득에 이어, 독립획득입니다. 독립획득은 건물의 거주공간으로부터 분리된 공간을 통해 태양 에너지를 흡수, 저정하는 태양열 난방 시스템의 일종입니다. 썬 스페이스, 즉 우리의 거주공간으로 말하자면 아파트의 베란다의 역할이 그것입니다. 아래 개념도는 독립획득 Passive 태양열 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것입니다. 썬 스페이스(Sun space)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체 건물층 계획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아파트 처럼 말입니다. 한쪽면만이 주요한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하면 되는 건물에 부착되는 방식과 두쪽 면이 모두 정면성을 갖는 건물에 부착되는 방식, 그리고 심지어 세면이 부착되는 방식 등이 있겠습니다. 썬스페이스를 통해 저정된 열은 대류순환고리를 통해 연돌효과로 거주 공간으로 이동되.. 2012. 4. 27.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쳔사 (106) - 강점제2시기 -강점 제2시기의 매립- 마산포에는 1910년대에 이미 일본인 박간의 매립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마산만의 매립은 192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해방 때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매립이 빈번했던 까닭은 마산 해안의 창탄지역이 일본자본가의 입장에서 볼 때는 저비용 고수익, 즉 손쉽게 큰돈을 쥘 수 있었던 투자의 방편이었기 때문입니다. 회사령 폐지로 1920년대 벽두에 시작된 국내 공업시설 확충 붐과 연결시켜 생각하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1920년대(강점 제2시기) 매립착공은 많았지만 준공된 곳은 마산포 두 군데, 신마산 한 군데 모두 세 곳이었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920년대 첫번째 매립입니다. 전 동성동 사무소와 그 주변인 남성동 30-1번지의.. 2012. 4. 23.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7)난방: 간접획득 간접획득 시스템은 태양열이 집열되는 매체가 거주하는 공간과 분리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모아진 열은 복사, 전도 및 대류 등을 통해 건물 공간으로 재분배되는 것으로 이에는 기본적으로 세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축열벽(Trombe) , 물(축열벽에 설치), 축열지붕입니다. 다음 그림은 축열벽을 통해 태양열을 축열하여 거주공간으로 전달하는 방식의 간접획득 시스템의 개념도입니다. 축열벽은 유리층 바로 밑에 열을 저장할 수 있는 매개체(무거운 조적이나 상당한 양의 물 등)를 삽입하여 남측 창의 유리벽면으로 배치한 것입니다. 태양복사가 유리를 통과하여 서서히 가열되었다가 조적이나 물을 통과하여 흡수된 열이 내부 공간으로 재가열되는 것입니다. 대류를 통한 추가적인 열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작은 연돌효과를 위한 의도) 축.. 2012. 4. 20.
마산만 매립해서 땅 장사하려는 기업들 성동산업 마산조선소가 취득한 마산 앞바다 공유수면 16,000평 매립권을 두고 장사꾼들의 농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시작은 수년 전부터였습니다. 마산만 내만에 자리를 잡은 성동조선이 "사업을 일으키려면 바다에 접한 땅이 더 필요하다"고 요구하면서 시작된 일이었습니다. 오염총량제 실시 이후 마산만의 매립은 더 이상 없을 것이었지만 성동조선의 요구에 대해서는 사정이 좀 달랐습니다. 당시 마산에는 내놓을만한 기업이 별로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동조선이 사업을 일으키면 고용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매립을 해서라도 지역경제를 살려보라고 여기저기서 지원했습니다. 마산지역의 상공계를 대표하는 마산상공회의소가 직접나서서 “공유수면매립이 완료되면 연 매출액 1조원에 2천명의 고용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기업이 .. 2012. 4. 18.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5) - 강점제2시기 마산** 1930년 / 山本三生 / 개조사 / 1:40,000 / 일본지리대계12, 조선편 / 개인 비교적 상세하게 당시의 마산도시공간을 알아 볼 수 있는 지도입니다. 직선형의 도로 외에도 예전부터 조성되어 있던 도로까지 잘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도로 외에도 개천 및 철도까지 정확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신마산은 이때도 고운로 상부는 개발되지 않고 있었으며 중앙마산은 구도로 변에 조그마한 건물들이 다닥다닥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원마산은 북쪽으로 영역이 넓어져서 동척사무소와 교도소 위쪽으로 건물이 들어서고, 전 북마산파출소 부근에 일단의 건물이 들어서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이미 동굴강 일부가 매립되었지만 워낙 축척이 세밀하지 못해서인지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지도.. 2012. 4. 16.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4) - 강점제2시기 마산부약도** 1930년 / 조선총독부 / 조선총독부 / / 朝鮮の 都邑(조선의 도읍) / 경남대 도서관 2주 전에 소개한 「마산부약도*」를 약간 조정하여 옮긴 것으로 보이는 지도입니다. 특별히 따로 설명할 것이 없는 지도이지만 당시에 간행된 지도를 선보이는 차례라 소개합니다. 도시의 공간 변화가 1923년부터 1930년까지는 상당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산부약도*」에 나타난 경남선 철도에 대한 표기오류도 수정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표기 방법만 약간 다를 뿐입니다. 최근 3.15의거 때 목숨을 잃은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인양된 곳이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만, 바로 그곳이 당시에 해수욕장이었다는 기록이 뚜렷이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이 지도 역시 그다지 신뢰할만한 자료로 .. 2012. 4. 9.
혹시 탱크 프라모델 조립해 보셨나요? 지난 주말 마트에 들러 아이 장난감을 고르다가 흥미로운 것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축소한 모형탱크를 직접 조립하는 프라모델입니다. 요즘에도 이런게 나오나 싶어 박스를 이래저래 살펴보니 '아카데미'라는 제조사도 그대로고 부품을 하나씩 떼어 조립하는것이며, 모터를 장착해 유선리모콘으로 조종하는 것이 예전 그대로입니다. 유년시절 갖고 싶어도 형편때문에 쉽게 사지 못하고 딱 한번 사서 애지중지 간직했던 기억이 나더군요. 여섯살 난 딸아이와 함께 만들어 보려고 덥석 집어 왔습니다. 일요일 아침 일찍 일어나 옛 추억에 잠기어 딸아이와 함께 정성스럽게 조립을 했습니다. 모형을 살때 신나하던 저를 철없는 어린애 보듯한 저의 아내도 완성도 높은 저의 조립실력에 조금은 감탄하는 눈치였습니다. 이윽고 모형이 완성되고 리모콘을.. 2012. 4. 4.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3) - 강점제2시기 마산(조선교통도 마산5호) 1926년 / 일본 육지측량부 / 조선총독부 / 1:50,000 / 조선교통도 / 국립지리원 이 지도는 1916년에 측도하여 1926년 6월 25일에 인쇄, 6월 30일에 발행한 것으로 저작권 소유자는 조선총독부이며 인쇄 겸 발행자는 육지측량부입니다. 1916년 측도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1925년 6월에 개통한 경남선 철도가 뚜렷이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발행 연도인 1926년 당시의 지도인 것이 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도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교통도’이기 때문에 등고선 등의 표기는 없고 그 대신 도로 사정을 잘 알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는 것이 이 지도의 특징입니다. 이 지도의 제작과 관련된 기록을 소개하겠습니다. 글의 출처는 1986년 栢書房(株)에서.. 2012. 4. 2.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6)난방: 직접획득 일반적으로 주택의 경우, 매우 무더운 기후를 제외하면 난방이 냉방보다 부하가 더 큰 경향이 있습니다. 보다 큰 건물의 경우, 건물표면비가 매우 큰경우, 냉방부하가 큰 경향도 있습니다. 건물난방의 가장 단순한 방법은 난방을 필요로 하는 시기에 태양복사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축열하여 저장한 태양복사열을 내부에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직접획득이라 합니다. 직접획득은 창호의 긴밀성이 매우 중요하며, 눈부심이나 태양빛으로 인한 내부마감이나 가구의 품질저하(색바램)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 다른 난방 방식은 간접획득입니다. 내,외부 벽에 태양열을 축적했다가 다시 내부에 난방열로 사용하는 축열벽이나 지붕연못 등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축열재의 열을 내부로 복사와 대류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그외 썬 스페.. 2012. 3. 30.
환경파괴범은 모두 교수형 '환경파괴범은 모두 교수형' 정말 끔찍한 이야기입니다. - 좀 더 읽어보고 마저 얘기드리겠습니다. 목 매달린 사람이 시퍼런 혀를 빼물고 있었다. 그 주의 다른 나뭇가지에도 사형수들이 매달려 있었다. 한 그루에 한 명씩, 이따금은 한 그루에 둘씩, 모두 목둘레에 조목이 적힌 팻말을 걸었는데, 그 팻말엔 단어 중에서도 가장 외설적인 이 단어가 적혀있었다. 〈환경 파괴범〉- 중략- 시체의 머리 위로 까마귀 떼가 잔뜩 내려앉아 두 눈을 파먹고 나면, 째빨리 그 자리에 파리 떼가 시끄럽게 윙윙되며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 이상의 상황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대기권의 오존층이 파괴되어 아슬아슬한 한계에 도달한 상태에서, 북극의 얼음이 녹아 대양의 해수면시 상승하여 필리핀 등 동남아 군도가 사라지면서 수백만명이 사망하고.. 2012. 3. 28.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2) - 강점제2시기 지난 시기와 마찬가지로 1921년부터 1930년까지 제작된 마산관련 지도를 해제하고 그 외 관련 자료를 토대로 마산 도시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지도는 이미 1916년에 측도 제작한 1:10,000지도와 1:50,000지도에 기초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1:10,000지도처럼 세밀한 지도는 이 시기에 다시 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1910년대만큼 지도를 통해 정밀하게 도시구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는 없었습니다. --------------------------------------------------------------------------------------- 馬山府略圖* 1923년 / 조선총독부 / 조선총독부 / / 조선철도여행편람 /.. 2012. 3. 26.
당신은 원전과 몇km 떨어져있습니까? 며칠 전 고리원전1호기에 전원공급이 끊겨 냉각기능이 마비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정전으로 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원전과 유사한 충격적인 사고였습니다만, 탄로날까봐 한 달 넘도록 쉬쉬했다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고리원전1호기는 2008년에 이미 수명이 끝났는데, 다시 수명을 10년 연장시킨 우리나라 최초의 원전입니다. 위험하다고 시민단체가 반대를 많이했지만 귀를 막은 정부가 재가동했습니다. 고리원전1호기 사고 뉴스를 보던 순간, 후쿠시마의 참상이 떠올랐습니다. 안전도 최고라던 일본도 사고가 났는데,,, 우리 원전은 괜찮을까요? 어디 일본 뿐입니까?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을 자랑하던 미국(1979년, 스리마일 원전)과 소련(1986년, 체르노빌 원전)에서도 사고가 났으니 말입니다. 반핵 학자로 유명한 고.. 2012. 3. 21.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1) - 강점제2시기 5) 중앙마산의 형성과 의미 시작부터 거리를 두고 자리 잡은 신마산과 원마산은 일제의 강점이 진전되면서 확산되었지만 두 도시의 도시 공간 확산 방향은 완연히 달랐습니다. 원마산이 교방동과 상남동 방향, 즉 신마산의 반대방향으로 확산된 반면 신마산은 그와 반대로 원마산 방향으로 도시공간이 확산되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도시공간은 확산되었지만 이미 자리 잡고 있던 마산부의 행정기관들은 대부분 조계지, 즉 마산도시의 남서쪽 끝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 건물들은 개항기 혹은 강점 초기에 건설되어진 것들로서 미래의 도시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던 결과입니다. 행정기구를 담당하고 있었던 일본인들만의 편의를 위해 그들이 집중해 있던 조계지에 자리 잡았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1920년대 들어서는 부민들 사이에서 도시의.. 2012. 3. 19.
톡톡튀는 아이디어 디자인으로 절전하기 에너지 위기는 우리에게 당장 닥치게된 일입니다. 지속적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에너지 관리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지식경제부의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공공기관 에너지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과 행정안전부의 '청사에너지 위기단계별 조치계획' 등이 그런 차원의 조치들입니다. '위기는 기회로 작용한다?' '난세에 영웅?' 이런 거창한 형용이 아니더라도, 절전하기의 실천을 돕는 "착한" 디자인이 있습니다. 톡톡튀는 아이디어 디자인으로 절전을 돕는 디자인제품들입니다. 전선플러그에서, 콘센트, 멀티탭 등에 대한 소개입니다. 우선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도입된 디자인아디어입니다. 우선 손가락으로 뽑기(?)가 간단하게 디자인된 제품입니다. 색깔도 무척 눈에 쉽게 띕니다. 돌리면 전원공급이 차단.. 2012. 3. 14.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0) - 강점제2시기 2010년 4월 8일에 시작한 연재가 오늘로 100회를 맞았습니다. 매주 월요일마다 글을 올린 것이 그럭저럭 2년이 다되었군요. 보잘것 없는 글을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4) 문헌을 통해 본 당시 상황과 중앙마산의 도시계획 직전 포스팅에서 올린 중앙마산에 대한 문헌의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당시 중앙마산의 상황이 다음과 같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중앙마산의 범역은 신월천에서 장군천을 거쳐 척산교에 이르는 철도용지 내 시가를 뜻했다. ② 마산은 마산포․신마산․중앙마산이라는 세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마산포 방면은 한인을 상대하는 상점이 많고, 신마산은 정비된 가로에 군인 및 관리를 상대로 하는 상점이 많으며 중앙부는 관아․학교․사원․철도소재지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사택이 많이 있다. ③ 1931년에는.. 2012. 3. 12.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5)조명: 전기조명 전기조명은 건물에서 사용되는 조명에너지의 집약적인 구성요소입니다. 국제에너지관련 기구의 보고(Waide, 2006)에 의하면 조명은 지구전기에너지 소비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승용차량의 7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차량 덜타기를 실천하는 만큼, 전기조명 사용을 줄이는 것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안켤수는 없는 전기조명은 결과적으로 고효율의 등으로 바꾸므로, 전기사용량을 40%감소시킬수 있는 방법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기조명시스템 설계의 기초개념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필요한 조명만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사진은 오레곤주 Clarkamas시 Clarkmas 고등학교 교실 사례로, 광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 자역채광 + 전기조명 시스템입니다... 2012. 3. 9.
단독주택 경사지붕 규정에 대한 생각 창원시 용호동 주택가에 사는 ㄱ씨는 지금 살고 있는 주택이 너무 낡아 철거한 후 다시 짓고자 한다. 퀴즈!! 아래 다섯장의 사진 중 ㄱ씨가 규정에 의해 지을 수 없는 형태의 건물은 몇번째 사진일까? 정답!! 첫번째 부터 네번째까지의 형태는 지을 수 없고, 다섯번째 형태는 가능하다. 첫째, 둘째, 셋째 집은 경사지붕이 아닌 이유로, 네번째 집은 경사지붕이지만 경사도가 규정에 맞지 않기 때문에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다. 창원의 지구단위구역내에서 집을 지으려면 구역내의 용도, 규모, 밀도, 형태 및 배치, 공간이용 등을 규제하는 '창원 배후도시 제1종지구단위계획'의 지침을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지구단위계획이란 종전의 '도시설계'와 '상세계획제도'를 통합한 토지이용 합리화 계획으로,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 2012. 3. 7.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9) - 강점제2시기 3) 각종 문헌에 나타나는 '중앙마산'의 철도용지 ‘중앙마산’이라는 용어는 이 글에서 처음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미 일제기에 간행된 마산관련 몇몇 자료에서「중앙마산(中央馬山)」혹은「중앙방면(中央方面)」「중앙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은 이 지역이 신마산과 원마산의 두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두 지역 사이에 있는 다른 성격의 도시공간이라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는 1920년대 일본인이 발간한 문헌에 나오는 '중앙마산' 관련 기록들을 모아 소개하겠습니다. 내용을 간추려 번역한 것이며 명칭은 현재 사용하는 용어로 고쳐 적습니다. ①『馬山港誌(마산항지, 1926)』- 諏方史郞(추방사랑) a. 위치와 지세(p.3) 마산부의 대체적인 지세는 본래 마산포 즉 마산포 방면과 이전의 각국거류지 및 군영,.. 2012. 3. 5.
창원지역의 건축을 소개하는 '창원건축가이드맵'이 출판되었읍니다. ●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여행을 할 기회가 예전에 비해 많아진것 사실입니다. 다른 지역을 방문할 때 가장 먼저 찾게 되는 것이 먹거리와 볼거리 입니다. 그래서 인지 고속도로 휴게소에 들르게 되면 해당지역의 볼거리와 먹거리를 소개하는 홍보리플렛을 무료로 배부하여, 이를 이용하는 여행객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경제에 일조를 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하지요! 먹거리의 경우 인턴넷상의 정보가 많아서 알아서 잘들 찾아가게 되지만, 볼거리의 경우는 사정이 조금 다릅니다. 볼거리는 보통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명소와 함께 건축물을 찾게 되는데, 건축물의 경우 지역별 안내서가 부족하여, 외지인들에게 지역을 소개할 기회가 드물었읍니다. 그래서 이번에 '창원친환경도시건축조직위원회'와 창원시(건축경관과)가 협력하여 창원지역의 건축물.. 2012. 2. 29.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8) - 강점제2시기 2) 중앙마산이 철도용지로 강점되는 과정 철도용지를 둘러싼 일제의 공공연한 토지약탈은 마산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습니다. 경계 측량을 할 때 경계를 속인다든지, 원래 정해진 경계보다 턱없이 많게 토지를 점령한다든지, 군용지라고 속여 민간의 토지를 침범한다든지, 일본군의 군용도로를 만든다면서 민가를 헐어버린다든지, 개인 사유지를 일본정부에서 내려준 것이라면서 팻말을 박아 자기 땅으로 만들어버린다든지 하는 등 일본인들의 횡포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았습니다. 마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마산의 철도용지도 지난 주 포스팅에서 언급한 한일의정서 제4조를 적용시켰던 겁니다. 2012/02/2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번천사 (97) - 강점제2시기 철도용지 확보과정에서 마산의 일본.. 2012. 2. 27.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4)조명: 차양장치 차양장치는 태양복사로부터 건물 열획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이면서도 자연채광, 조망 및 자연환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이기도 합니다. 차양장치는 Passive건물 난방이 요구될 경우 연중 어느때라도 직달복사를 허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창문에 차양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대개의 경우지만, 매우 무더운 지역의 경우 벽과 지붕에도 건물 외부로부터 열획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 설치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차양설계는 태양의 궤적과 인근 장애물, 일시, 위도 등과 같은 수많은 요인들에 좌우됩니다. 독일(베를린)의 덴마크 대사관건물은 가변형 차양장치가 사용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태양열은 복사를 통해 지구에 도달하게 됩니다.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양복사열이 건물 표면에 부딪히면 반사 .. 2012. 2. 24.
지금와서 시간 없다는 마산해양신도시 10년 넘게 끌어온 마산해양신도시 문제가 최종안 결정을 앞두고 진통이 큽니다. 해양신도시가 들어서는 신마산 일대의 주민들은 최근 ‘주민대책위원회’를 만들어 반대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회의도 하고, 집회도 하고, 유인물도 뿌리고, 급기야 창원시청 정문에서 합의집회를 가진 후 시장실에 까지 가기도 했습니다. 오래 전부터 이 사업에 반대의견을 낸 ‘해양신도시 반대 시민대책위원회’도 연일 바쁩니다. 최근에만 해도,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와 네 차례의 간담회를 가졌고, 갯벌조성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토론회도 가졌습니다. 수시로 회의도 열고, 시민들을 상대로 해양신도시의 부당성을 알리고, 언론에 호소했습니다. 하지만 20일(월) 오후에 가진 네 번째 간담회에서도 창원시의 입장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섬형.. 2012. 2. 22.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7) - 강점제2시기 1) 중앙마산이 철도용지로 된 원인 마산포와 신마산의 중앙부가 1920년대까지 도시형태를 띠지 못하게 된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이 일대가 러일전쟁 직전인 1904년 일본의 군용철도용지로 수용당한 뒤 1920년대까지 변하지 않고 그 상태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1904년 2월 10일 일본은 러시아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기 위해서 러시아와 국교를 단절하고 선전포고를 하여 러일전쟁을 시작합니다. 이 전쟁에 앞서 일본은 마산에 있는 우체국과 전보사 및 율구미에 있던 러시아 해군육상사령부의 시설을 압수했습니다. 그리고 1904년 9월 1일, 군용철도 마산선의 건설공작대가 마산에 입항했습니다. 러일전쟁 수행을 위해 한국 조정을 강압하여 의정서를 체결했기 때문입니다. 삼랑진 - 마산 사이의 철도공사는 의정서 제.. 2012. 2. 20.
Co2배출 줄이는 그린빌딩(Green Building)설계(13)조명: 실내반사율 공간의 실내반사율은 재료의 표면특징, 즉 색상과 질감에 의해 결정됩니다. 색상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의 양을 결정합니다. 즉, 어두운 색상은 빛을 흡수하는 반면 밝은 색상은 빛을 반사시킵니다. 공간의 규모에 따라 내부적으로 반사되는 자연채광이 몫이 매우 큰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표면이 광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반사되는 공간간에 더 많은 빛이 상쇄될 것이며, 이에 따라 조명을 사용하게 되는 필요성으로 이어집니다. 빛이 표면상 반사되는 각도를 나타냅니다. 매트라 불리는 거친 질감의 표면에 의해 확산되는 반사되는 빛은 여러 방향으로 확산됩니다. 실내재료의 반사율, 공간규모 및 창문개구부의 위치 등은 한 공간 내 주어진 지점에서 주광율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 사진은 일본 하네다 공항의.. 2012. 2. 17.
마산 풀치를 들어보셨나요? 오늘 우연히 본 네이버에서 '팔도식후경'으로 소개된 "마산 풀치"입니다. 지금은 통합으로 인해 "창원풀치"라 명명되었지만, 어쩐지 "마산 풀치"가 더 어울리는 이름입니다. 언젠가 마산쪽 식당에 가면 먹어본 그 맛입니다. 주메뉴보다도 더 인기를 독차지하며, 꼭 추가로 주문하게되는 '갈치 조림'입니다. '갈치'가 어린 것을 '풀치'라 부른답니다. (저도 이제야 알았습니다만) 이를 꾸덕하게 말려 조림을 해 먹는데 그 맛이 일품입니다. 아래 전체 사진과 글은 아래 사이트에서 가져온 것임을 밝힙니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7495&category_type=series 갈치는 본래 서민의 생선입니다. 하지만 연근해 갈치 어획량이 줄고 중국인들이.. 2012.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