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포동의 탄생>
1920년대 중반까지 마산의 도시구조는 한국인들이 모인 원마산과 일본인들이 거주한 신마산으로 갈라져 있었습니다.
두 지역을 연결해야할 중앙지역은 지형적으로도 잘록한 병목형이었을 뿐 아니라 철도용지로 묶여 있기까지 해서 도시발전에 장애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철도용지가 마산부에 불하되어 시가지 형성이 가능해지자 마산세무서․마산부청․경성전기 마산지점․도립마산병원․지방법원 지원․신문사 등 관공서나 공공시설의 건물이 세워지거나 또는 건축예정부지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른바 중앙마산이 공공업무지역으로 재탄생하기 시작한 겁니다.
때를 맞춰 비슷한 시기에 조선회사령도 철폐되자 일본인들이 기회를 놓칠세라 마산의 중앙부 해변에 매축을 계획하게 되어 본 매립이 추진되었습니다.
위치는 현 대우백화점, 어시장, 삼익아파트, 센트럴 아파트단지를 포함한 아래의 넓은 지역입니다.
이 대규모 매립공사는 마산매축주식회사에 의해 65,088평 규모로 시행되었는데 그 중 대지는 48,105평이었습니다.
마산매축주식회사(마산시 남성동 221번지)는 오직 이 매립사업 만을 위해 설립한 회사였습니다.
마산매축주식회사에 참여한 사람은 일찍부터 마산에 들어와 미곡상을 하던 송원조장(松原早藏)을 비롯해 서전(西田)양조장 주인 서전목총시(西田木惣市), 대판상선 마산대리점 도본우일(島本宇一)과 부산의 서본영일(西本榮一)과 암전국랑(岩田菊郞) 그리고 일본 고오베에서 사업을 하던 야림치일(野林治一) 등 모두 여섯 명이었습니다.
다음은 매립설계도입니다. 서울대 중앙도서관 소장 자료입니다.
매립허가 신청은 1928년 11월 15일하였고 마산부로부터 허가는1929년 6월 14일 받았습니다. 매립공사를 착공한 시기는 1929년 말경이었고 1935년 10월에 준공되었습니다.
마산시사에 의하면 자산동 204번지에서 247번지, 즉 현 자산동 온누리 빌라 남쪽 일대의 임야를 매입한 후 그 흙을 취토(取土)해 공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새로 조성된 토지 48,105평은 신포동 1가 1번지에서 46번지까지의 22,257평과 신포동 2가 1번지에서 113번지까지의 25,848평이었습니다. 당시 기준지가는 평당 1엔30전부터 1엔80전까지였습니다.
이 땅이 현재의 신포동입니다. 일제강점기에 풍정(豊町)이라 불렀던 신포동은 이 매립사업으로 태어났던 겁니다.
이 매립지에는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의 임해창고(臨海倉庫)와 군수․민수용을 다함께 제조하는 대형 장유공장인 환금장유주식회사를 비롯하여 일본광업․질소비료․조선염협 등 대소 기업체들이 입주했습니다.
현재 환금장유 자리에는 삼익아파트가, 옛 의창수산자리는 대우백화점 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마산시사와 마산개항백년사 등 그간 편찬된 마산관련 각종 문헌에 의하면 이 신포동 매립지 해변이 월포해수욕장이라고 했는데 이는 사실과 약간 다릅니다.
월포해수욕장은 이쪽이 아니라 1936년-1939년까지 시행된 제2부두와 중앙부두 북쪽 일부였으며 신포동 매립지는 남단에 약간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사실은 여러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1932년 마산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향토의 교통도(鄕土の交通圖)」입니다.
아래 그림이 「향토의 교통도」의 일부입니다.
이 그림을 보면 장군천을 기점으로 좌측이 해수욕장이라고 「월포해수욕장(月の浦 海水浴場)」이라는 명칭까지 정확하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신포동 매립지는 장군천을 기점으로 우측 지역이었습니다.
또 143번째( )로 소개했던 지도 「馬山***」에는 해수욕장 변에 있었던 송림(松林)으로 추정됨직한 나무들이 제2부두와 중앙부두 쪽에 묘사되어 있어서 이 사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입니다.<<<
2012/07/3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0) - 강점제3시기
2012/08/0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1) - 강점제3시기
2012/08/1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2) - 강점제3시기
2012/08/2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3) - 강점제3시기
2012/08/2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4) - 강점제3시기
2012/09/0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5) - 강점제3시기
2012/09/1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6) - 강점제3시기
2012/09/1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7) - 강점제3시기
2012/09/24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8) - 강점제3시기
2012/10/01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9) - 강점제3시기
2012/10/08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0) - 강점제3시기
2012/10/15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1) - 강점제3시기
2012/10/2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2) - 강점제3시기
2012/10/2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3) - 강점제3시기
2012/11/05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4) - 강점제3시기
2012/11/1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5) - 강점제3시기
2012/11/1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6) - 강점제3시기
2012/11/2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7) - 강점제3시기
2012/12/0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8) - 강점제3시기
2012/12/1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39) - 강점제3시기
2012/12/1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0) - 강점제3시기
2012/12/24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1) - 강점제3시기
2013/01/0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2) - 강점제3시기
2013/01/0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3) - 강점제3시기
2013/01/14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4) - 강점제3시기
2013/01/21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5) - 강점제3시기
2013/01/28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6) - 강점제3시기
2013/02/04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7) - 강점제3시기
2013/02/11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8)- 강점제3시기
2013/02/18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9) - 강점제3시기
2013/02/25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50) - 강점제3시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53) - 강점제3시기 (0) | 2013.03.18 |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52) - 강점제3시기 (0) | 2013.03.11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51) - 강점제3시기 (0) | 2013.03.04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50) - 강점제3시기 (0) | 2013.02.25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9) - 강점제3시기 (0) | 2013.02.18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48)- 강점제3시기 (0) | 2013.02.11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6) "사십 년을 살아온 제2의 고향" ------------------------- 조○○ 1940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2-2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선생님께서도 우체국에..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5) "서민들 사는 보통 동네에서의 조용한 기쁨" ------------------------- 최○○ 1936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1-5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4) "한 집에서 46년을 살아오면서" ------------------------- 김○○ 1940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598-16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조합사무실, 자택 - 반..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3) "삼십 년 넘게 한 자리에서 콩나물을 길렀다" ------------------------- 권○○ 1949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지하 수정식품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2) "동네 지킴이, 칠원쌀상회" ------------------------- 이○○ 1948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1층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지금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일러두기> 1) 주민 면담은 2015년 1월 중에 이뤄졌습니다. 2) 인터뷰이(interviewee)는 가급적 오래 거주하신 분들을 모시고자 하였습니다. 3) 게재 순서는 편의상 인터뷰가 이뤄진 시..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2 3) 봉화산봉수대(烽火山烽燧臺) 회원동 봉화산에 있는 고려 말~조선 시대의 봉수대(아래 사진)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어 ..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1 1) 교방동 관해정(校坊洞觀海亭)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였던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년~1620년)가 그의 제자들과 함..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3) 인접 지역의 기업과 공장들 - 3 ● 협동정미소 터 상남동 회산다리 건너 회원천변에 붙은 회원동 429-1번지. 현재 환금프라자 건물이 들어서 있다. 삼성그룹 창업자..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3) 인접 지역의 기업과 공장들 - 2 ● 교원동 일대의 공장들 건설목공소(가구 제조), 교원동 117번지, 대표 김협환 광전사(전기공사업), 교원동 54번지, 대표 한..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3) 인접 지역의 기업과 공장들 - 1 회원동과 교원동, 교방동 일대의 기업체와 공장들의 흔적을 찾아보기로 한다. 실제 경제 활동의 기초가 되는 회사와 공장들을 살펴봄으로..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2) 사업구역 인접 동일생활권 내의 삶의 흔적 - 5 ● 북마산중앙시장, 북마산청과시장 북마산중앙시장이 현재의 자리에 들어선 것은 37년 전인 1976년 11월이다. 이 ..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2) 사업구역 인접 동일생활권 내의 삶의 흔적 - 4 ● 비치거리 상남동에서 회산다리를 건넌 회원동 초입의 거리를 말한다. 옛날 이곳에는 비석이 있었기 때문에 비석거리로 ..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2) 사업구역 인접 동일생활권 내의 삶의 흔적 - 3 ● 회원동 500번지 회원동 500번지 일대의 동네를 말하는데 일제 강점기 때 이곳에 일본군 기마병의 마굿간과 창고가..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2) 사업구역 인접 동일생활권 내의 삶의 흔적 - 2 ● 배넘이 고개 [배드나무 고개, 배드난 고개] 회원동 골짜기에서 마재고개로 넘어가는 산중허리를 세인들이 지금도 배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