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마산포 토지 소유>
1920년에 비해 10년 후인 1930년에는 가용지가 186,119㎡에서 182,406㎡로 약 3,700㎡가 줄었습니다. 이 차이는 1920년대에 새로 개통된 다수의 도로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의 토지 소유는 1920년 기준으로 필지수로는 274필지에 21.3%, 면적으로는 65,000.11㎡에 35.0%였으며 필지 당 평균면적은 237.23㎡였습니다.
그러나 1930년에는 필지수가 365필지에 26.5%, 면적은 70,812.08㎡에 38.8%이었고 필지 당 평균면적은 194.01㎡이었습니다.
필지수와 면적은 늘어난 반면 필지 당 평균면적은 오히려 줄어든 것입니다.
이에 반해 한국인들의 토지소유 상태는 1920년 981필지에 76.3%, 면적 116,320.88㎡에 62.5%, 필지 당 평균면적 118.57㎡이던 것이 1930년에는 916필지에 66.5%, 면적 100,749.45㎡에 55.2%, 필지 당 평균면적은 109.99㎡이었습니다.
일본과 한국 모두 필지 당 평균면적이 줄어든 것은 도로개설로 인한 자투리땅의 영향이 컸을 것입니다. 하지만 필지 수에서 한국인의 것이 줄어든 반면 일본인의 것은 늘었던 겁니다.
면적 역시 한국인 소유는 15,571.43㎡ 7.3% 줄었지만 일본인의 토지소유는 면적으로 5,811.97㎡, 비율로 3.8% 증가했습니다.
이 변화는 개인소유의 대지에서 생긴 변화인데 대부분 일본인의 소유였던 기업과 단체 소유 대지의 소유량 증가까지 합할 경우 1920년대 일본인의 원마산 토지 소유량 증가는 아주 많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1910년, 1920년, 1930년의 토지소유변화를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정부. 마산부
기업. 단체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게
필지수
5
10
853
271
18
1,157
비(%)
0.4
0.9
73.7
23.4
1.6
100.0
면적
5,783.54
1,299.18
107,051.13
53,228.14
2,105.79
169,467.77
비(%)
3.4
0.8
63.2
31.4
1.2
100.0
필지평균
1,156.71
129.92
125.50
196.41
169.99
146.47
필지수
9
10
981
274
12
1,286
비(%)
0.7
0.8
76.3
21.3
0.9
100.0
면적
760.99
2,714.05
116,320.88
65,000.11
1,323.64
186,119.67
비(%)
0.4
1.5
62.5
35.0
0.7
100.0
필지평균
84.55
271.41
118.57
237.23
110.30
144.73
필지수
54
34
916
365
8
1,377
비(%)
3.9
2.5
66.5
26.5
0.6
100.0
면적
3,240.67
7,120.70
100,749.45
70,812.08
483.96
182,406.86
비(%)
1.8
3.9
55.2
38.8
0.3
100.0
필지평균
60.01
209.43
109.99
194.01
60.50
132.47
1920년대는 일본자본의 한국침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산업수탈기였습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이 원마산의 토지 소유량 변화에서도 그대로 관철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업소유의 대지가 2,714.05㎡에서 7,120.70㎡로 4,400여㎡가 늘어났는데 이 양은 원래 소유량의 2.6배에 해당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한국인의 대지는 10년 동안 무려 11,000㎡가 줄어들어 심한 토지소유권 침탈 현상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1930년의 토지소유상황(위)과 1920년의 토지소유상황(아래)을 나타낸 다음의 두 그림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중국인 소유의 토지는 강점기가 흐르면서 점점 적어져서 면적비로 1912년 1.2%, 1920년 0.7%, 1930년 0.3%로 변했습니다.
이와 같은 중국인의 퇴조 현상을 통해서도 강점기가 진행되면서 마산도시의 일본인 독점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었음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2011/11/21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85) - 강점제2시기
2011/11/28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쳔사 (86) - 강점제2시기
2011/12/05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87) - 강점제2시기
2011/12/1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88) - 강점제2시기
2011/12/1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89) - 강점제2시기
2011/12/2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0) - 강점제2시기
2012/01/0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1) - 강점제2시기
2012/01/0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2) - 강점제2시기
2012/01/2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3) - 강점제2시기
2012/01/3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4) - 강점제2시기
2012/02/0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5) - 강점제2시기
2012/02/1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6) - 강점제2시기
2012/02/2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7) - 강점제2시기
2012/02/2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8) - 강점제2시기
2012/03/05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99) - 강점제2시기
2012/03/1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0) - 강점제2시기
2012/03/1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1) - 강점제2시기
2012/03/2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2) - 강점제2시기
2012/04/02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3) - 강점제2시기
2012/04/09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4) - 강점제2시기
2012/04/16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5) - 강점제2시기
2012/04/23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쳔사 (106) - 강점제2시기
2012/04/30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7) - 강점제2시기
2012/05/07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8) - 강점제2시기
2012/05/14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9) - 강점제2시기
2012/05/21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0) - 강점제2시기
2012/05/28 - [역사속 도시이야기]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1) - 강점제2시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4) - 강점제2시기 (0) | 2012.06.18 |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3) - 강점제2시기 (0) | 2012.06.11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2) - 강점제2시기 (0) | 2012.06.04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1) - 강점제2시기 (2) | 2012.05.28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0) - 강점제2시기 (0) | 2012.05.21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09) - 강점제2시기 (0) | 2012.05.14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9) "서민들 살기 좋은 동네" ------------------------- 심○○ 1943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8-6 날짜 : 2015년 1월 10일 장소 : 자택 - 이 동네 사정을 제일 잘 ..
이 글은 경남도민일보 김민지 기자 (kmj@idomin.com) 2021년 02월 22일 (월) 기사입니다. 허정도 건축가 동명 도서 원작…관객, 연기·무대·의상 호평 일제강점기부터 부마항..
이 글은 위드인뉴스 김영식 기자의 2021년 2월 19일가 기사입니다. 창원시의 역사적 배경을 담은 창작연극 <도시의 얼굴들>이 지난 2월 18일 성산아트홀 소극장에서 드디어 첫 막을 올렸다. 2019 한국지역출판대상 천인독자..
배우 박정철이 연극 무대에 오른다. 이 글은 톱데일리(http://www.topdaily.kr) 최지은 기자의 2021년 2월 15일 기사입니다. 14일 토리엔터테인먼트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배우 박정철이 연..
<이 글의 원문은 경남도민일보 김민지 기자가 쓴 2021년 1월 27일 기사입니다.> 허정도 건축가 원작 동명 도서 옴니버스 형식으로 각색·극화 이달 18∼28일 성산아트홀서 창원문화재단이 주최·..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8) "여기가 제2의 고향이지요" ------------------------- 이○○ 1937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670-3 날짜 : 2015년 1월 9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옛날 동네..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7) "허허벌판에 이룬 삶의 터전" ------------------------- 박○○ 1947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672-22 날짜 : 2015년 1월 8일 장소 : 관룡사 - 반갑습니다. 예전..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6) "사십 년을 살아온 제2의 고향" ------------------------- 조○○ 1940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2-2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선생님께서도 우체국에..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5) "서민들 사는 보통 동네에서의 조용한 기쁨" ------------------------- 최○○ 1936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1-5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4) "한 집에서 46년을 살아오면서" ------------------------- 김○○ 1940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598-16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조합사무실, 자택 - 반..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3) "삼십 년 넘게 한 자리에서 콩나물을 길렀다" ------------------------- 권○○ 1949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지하 수정식품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2) "동네 지킴이, 칠원쌀상회" ------------------------- 이○○ 1948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1층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지금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일러두기> 1) 주민 면담은 2015년 1월 중에 이뤄졌습니다. 2) 인터뷰이(interviewee)는 가급적 오래 거주하신 분들을 모시고자 하였습니다. 3) 게재 순서는 편의상 인터뷰가 이뤄진 시..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2 3) 봉화산봉수대(烽火山烽燧臺) 회원동 봉화산에 있는 고려 말~조선 시대의 봉수대(아래 사진)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어 ..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1 1) 교방동 관해정(校坊洞觀海亭)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였던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년~1620년)가 그의 제자들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