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창원시의 도시철도(트램)에 대한 이해
마침이면, 도시철도에 대한 글(이윤기님, '김해 경전철 매년 300억적자, 창원 도시철도는?')과 제가 포스팅했던 글('창원도심에 들어설 트램의 모습은?) 두개가 동시에 올라왔더군요. ^^ 형식적으로 보면, 도시철도의 도입에 대해 찬반으로 반대입장인 것 같지만, 내용적인 면에서는 같은 뜻이라고 봅니다. 단지, 도시철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싶어, 관련자료를 포스팅합니다. 도시철도와 더불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용어는 BRT(간선급행버스체계 ; Bus Rapid Transit)입니다. BRT는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즉,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에서의 적용되는 도로교통체계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도시철도의 분류를 지하철, 경전철, 모노레일, 트램으로 나누다 보니..
2010. 6. 16.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쳔사 (4) - 고려시대
고려시대는 조운제가 ‘국가지중최중자야(國家之中最重者也)’라고 표현될 정도로 중요한 제도였습니다. 조운제의 성립시기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만, 고려 제6대 성종(982-997년)기에 전국 여러 포구에 조운기지를 설치하였다가 이후 정종(1035년-1046년)대에 이르러서 이를 개경 남부 12조창으로 개편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12조창은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서해의, 하양창(충청도 아산), 영풍창(충청도 부성), 진성창(전라도 임파), 안흥창(전라도 보안), 부용창(전라도 영광), 해릉창(전라도 나주), 장흥창(전라도 영암). 내륙의, 흥원창(강원도 원주), 덕흥창(충청도 충주). 남해의, 해룡창(전라도 순천), 통양창(경상도 사천), 석두창(경상도 합포, 마산)이었습니다. 12..
2010.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