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51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43) - 개항이후 1) 신마산 수산시장 매립계획 1905년 7월 29일 창원감리 현학표는 외부대신 이하영에게 매립신청을 했습니다. 위치는 마산포의 각국공동조계지 밖 남쪽 해안이었고, 그 절차로 신동공사에 청원을 심의해 달라는 요청이었습니다. ‘창원감리 보고 제50호’로 제출되었으며 도면까지 첨부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이 당시에 첨부되었던 도면입니다. 위 도면의 좌하부 삼각형 부분이 매립신청지인데 '수산회사축정지, 5천㎡정계(定界)'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그림의 삼각형 매립계획지를 현재 위성지도에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두색 삼각형이 수산시장 매립계획지, 노란색은 각국공동조계지, 파란색은 당시의 간조시 해안선입니다) 이 매립은 일본인 10여 명이 수산회사를 설립하여 신마산에 수산시장을 건립하겠다는 목적이었으며 위치는 .. 2011. 1. 31.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9) : 사카이 가스회사 ● Sakai Gas Building / 사카이 가스빌딩 '사카이 가스'는 일본 오사카현 사카이시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가스공급회사이다. 이 건물의 기능은 오가야마현 지역과 오사카 남부지역에 가스를 공급 및 관리사무실로 지어졌다. 아주 평범한 오피스 형태이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바람길을 통한 통풍기능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지어진 건물이다. 도심형 오피스 건물에 적용하기 좋은 친환경 기법의 모델로서 지어졌다. ● Project Outline/ 개요 - 이 건물에 적용된 핵심적 요소는 ‘자연에너지를 사용하는 패시브 시스템’과 ‘고효율 에너지에 의해 절감하는 기법’이다. - 도시지역에서 자연환기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에 접근함으로서, 하이브리드/혼합형 공조방식이 적용되었으며,.. 2011. 1. 28.
3D 영화가 대세라면, 벽화도 3D로 진화해야할까. 최근 영화는 입체영화가 대세입니다. 딱 하나( *바타) 보긴했지만, 같이 보았던 아내가 어지럽다며 다시 보고싶어하질 않았습니다. 입체영화이 가장 바라는 것은 '영상속 현실'과 보는이의 '현실'이 거의 가깝게 느끼게 하는 것이겠지요. 반대로 우리 도시 주변의 벽화가 3D로 진화한다면? 스스로에게 익숙한 도시의 환경, 즉 건물환경들. 이제까지의 벽화는 이랬습니다. 최근 인근 김해에서 본 (다소)입체적인 벽화입니다. 재료는 타일과 스텐(철재)로 구분되어 있으나, 소재는 자연입니다. 얼마전 미국의 벽화전문화가인 Eric Grohe의 작품을 보았습니다. 입체화법으로 유명한 그의 기법은 'Trompe-L’Oeil'라 언급됩니다. '실제인지, 사진인지, 그림인지' 헷갈리는 3D도시환경입니다. 3D 벽화를 이용해 칙칙.. 2011. 1. 26.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42) - 개항이후 1) 김경덕의 매립 계획 개항이 되면서 외국상선들이 마산포에 드나들기 시작했습니다. 외국군함들도 가끔 들어왔습니다. 외국 선박들이 들어오는 날이면 공물상인들과 잡화상들이 서부경남 각지에서 마산포로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루었으며 선창가에는 화물이 넘쳐났습니다. 하지만 당시 마산항의 규모와 시설은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오산선창․어선창․백일세선창․서성선창의 네 개 선창과 동․서 두 개의 굴강이 있었지만 모두 수심이 얕아 선박접근이 쉽지 않았고 하역장소도 좁았습니다. 선착장도 자연적 지형을 이용한 초보적인 시설뿐이었습니다. 늘어가는 항만 물량을 도저히 수용할 조건이 되지 못했습니다. 이때 동성리에 거주하던 김경덕이라는 사람이 마산포 앞에 매립을 하겠다고 나섰습니다. 마산포 개항 5개월 후인.. 2011. 1. 24.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8) : 와세다대학 산학보육센터 ● Incubation on Campus Honjo Waseda 와세다 대학(일본어: 早稲田大学)은 일본의 명문사립 대학교이다. 대학 본부는 도쿄 신주쿠 구 니시와세다(西早稲田)에 위치하며, 설립년도는1882년이며, 학생수는 학부 45,192명 (2008), 대학원: 8,609명 (2008)에 이른다. 본 건물은 사이타마현 혼조시에 있는 연구소로 산업체와 공동으로 연구개발하여 생산단계까지 개발하는 창업보육센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roject Outline / 개요 - 이 복합시설은 울창한 자연환경에 둘러싸여진 와세다대학 혼조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 대학원 연구실과 개별 회사 간에 공동으로 연구하기 위한 시설로서, 특별히 환경과 정보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지어졌다. - 센터의 목적은 대학에서.. 2011. 1. 21.
손발이 오글거리는 신용카드회사의 '자뻑'광고 고교야구 우승이 신용카드 덕분?? 최근 TV에 자주나오는 한 신용카드회사의 광고 하나. 고교야구대회에서 우승 후 감독 : "이번우승은 다 너희들 덕분이다." 선수들 : "아니 이모님 덕분이죠." 식당아줌마 : "아니 교장선생님 덕분이죠." 교장선생님 : "아니 신한카드 덕분이네." 신한카드 : 아닙니다. 신한카드는 고객님 덕분이죠. 이 광고를 볼때 마다 자화자찬 광고의 종결을 보는듯 하다. 에둘러 얘기하긴 했지만 결국 교장선생님이 카드를 그어 밥을 잘사줘서 야구대회를 우승할수 있었다는 결론이다. 야구대회 우승이 자기네 카드 덕분이라니.... 보는 내가 얼굴이 화끈거릴 지경이다. 일말의 양심은 있었던지 말미에 고객님 덕분이라고 화끈거리는 얼굴을 한번 달래준다. 2005년 광고계에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던 .. 2011. 1. 19.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41) - 개항이후 마산도시변천사는 매립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매립은 마산의 도시규모를 키웠고 교통과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때로는 도시중심권을 이동시키기도 했습니다. 매립이 지도만 바꾼 것이 아니라 마산시민의 생활까지 바꾸었습니다. 특히 근대도시 형성기였던 일제강점기의 매립은 마산도시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키쳤습니다. 그러므로 마산만 매립에 대한 이해 없이는 마산도시변천과정을 제대로 알기 어렵습니다. 일찍부터 마산이 항만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은 이유는 마산만 주변을 둘러싼 자연조건, 즉 내륙 깊숙이 들어온 마산만의 위치와 피항에 적합한 지형 때문입니다. 멀리 고려시대 조창인 석두창(石頭倉)과 일본정벌을 꿈꾸었던 정동행성, 그리고 조선시대 마산창(馬山倉)에 이르기까지 왕조시대 조정에서 마산항을 중시한 까닭도 .. 2011. 1. 17.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7) : 니혼대, 과학기술대학 니혼대학은 1889년 법학부를 기초로 설립된 120년의 역사를 가지는 일본의 대학이다. 니혼대학은 일본대학(日本大學)의 발음상 명칭이며, 대학 홈페이지에서도 Nihon University로 표기하고 있다. 학교 규모는 14개 단과대학에 83개의 학과와 22개 전공의 대학원과 6개의 전문대학과정에 약 8만명을 학생이 등록된 대학이다. ● Project Outline / 개요 - 본 건물은 니혼대학 후나바시 캠퍼스에 있는 과학기술대학 14호관 건물로 교육과 학생주거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설계 및 시공되어졌다. - 외부의 유리입면은 ‘사회로 열려진 대학’을 상징화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생활생활에서 교육과 변화가 일어나는 장소성을 표현하고 있다. - 1층 학생라운지 주변 지역은 투명도가 상당히 높으며, 디자인상.. 2011. 1. 14.
알프스 융푸라우요흐 설경을 보면서 지난 연말, 연휴를 이용해서 스위스 알프스산맥의 한 봉우리인 융프라우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난생 첨 보는 풍경에 감동을 쬐금 받았습니다. 그 풍경을 보면서 새해를 맞는 마음가짐도 정리해 보았읍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보아주십시오 파리에서 출발한 TGI 열차의 종착지는 스위스 인터라켄 마을이었다. 이 마을은 산악열차의 출발지로서 해발 600미터에 위치한 스키어들의 베이스캠프와 같은 마을이었다. 여기에서 산악열차는 그린델발트, 라우터브루넨, 벤겐 등의 산악마을을 거쳐 융프라우요흐 산 정상에 이르는 종착역에 다다를 수 있었다. ● 세계문화유산 : 빼어난 알프스의 고봉들이 즐비한 가운데 융프라우는 알프스 최초로(200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됐다. 융프라우와 더불어 산줄기 사이로 뻗은 알레치 빙.. 2011. 1. 12.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40) - 개항이후 -마산전도**- 1908 / 통감부철도관리국 / 좌동 / / 한국철도선로안내 / 경남대학교 도서관 마산에는 일찍부터(1905년) 철도가 놓였기 때문에 철도를 소개하는 모든 자료에 마산이 수록되어있습니다. 이 지도도 그런 종류 중 하나입니다. 조잡하게 제작되었지만 당시의 도시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입니다. 특히 신마산과 원마산의 합방 전 도로 사정을 잘 알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마산역사 연구에서 많이 인용되었던 자료입니다. 장군동 일대의 소위 중앙마산(구 마산시청 일대)에 오랫동안 존재했던 '철도용지'가 이 지도에 글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런가하면 이 지도가 제작된 1908년에는 계획단계에 머물러 있었던 고지대(현, 문화동 일대)에 까지 도로가 그려져 있으며 조금 과장된 면도 .. 2011. 1. 10.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6) : 마부치 모터 본사 (Mabucho Motor Co.) '마부치 모터'는 자동차 회사가 아니라 이름 그대로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특히 소형모터 부분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을 54% 이상 차지 하는 세계적인 회사이다. 그 회사의 역사를 살펴보면 창업자 켄니치 마부치(Kenichi Mabuchi) 는 1946년 Kansai Rika Kenkyusho에 소형전기모터를 개발하는 연구소를 설립을 시작으로 하여, 이듬해에 세계 최초로 말굽형 마그테틱 모터를 개발한 이후, 지속적인 모터분야를 개발하여 1854년 전기모터를 생산을 시작한 회사이다. 특히 경단박소형의 모터를 개발하여 장난감 전동자동차, 가전제품, 음향 통신기기, 사무기 등 뿐만 아니라 1984년에는 항공기에 장착되는 모터까지 생산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음 한 회사이다. < Project Out.. 2011. 1. 7.
꿈의 도시 신년 연휴에 재미있는 책을 한권 읽었습니다. 『공중그네』로 유명한 일본작가 ‘오쿠다 히데오’의 장편소설『꿈의 도시』였습니다. 한겨레신문 신간소개 란에 ‘쇠락해가는 세 도시를 통합해 탄생한 도시「유메노」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라는 투의 기사 때문에 읽게 되었습니다. 저의 관심은 ‘세 도시 통합’이었습니다만 제 의도와 달리 아쉽게도 '세 도시 통합'은 이 책의 주제가 아니었습니다. 「유메노」는 인구 3-4만의 작은 군 세 개를 합쳐 시(市)로 만들면서 희망찬 꿈을 안고 탄생한 도시입니다만 희망은커녕 절망만 남은 도시가 되었습니다. 통합 전에는 이웃 간의 작은 정이라도 오갔지만 도시가 조금 커지자 그 정마저 어제 일이 되었습니다. 대형쇼핑센터에 밀려 셔터를 내려버린 도시의 상점가, 대도시로 떠났거나 떠날 기회.. 2011. 1. 5.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9) - 개항이후 -마산전도(馬山全圖)*- 1907년 / 청목항삼랑(靑木恒三郞) / 율원경포당(栗原耕浦堂) / 1 : 4,500 / / 일본국회도서관 한일병합 직전 시기의 신마산 조계지를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제목인「마산전도」에서 보듯이, 당시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살았던 지역을 ‘신마산’ 혹은 그냥 ‘마산’이라고 불렀으며 원래부터 한국사람들이 살았던 원마산(마산포)을 ‘구마산’이라 불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인에 의해 마산 최초로 개설된 중앙에 있는 도로를 진해본통(鎭海本通)으로 표기하는 등 도로의 명칭을 일본식으로 지어 사용하고 있으며 조계지 주변의 산 이름까지 일화산(日和山), 영성둔산(影星屯山) 등 그들 멋대로 지어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본 지도가 제작된 시기에는 아직 개설되지.. 2011. 1. 3.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5) : 간사이 전력 본사 (Kansai Electric Power Building) 간사이 전력회사(Kansai Electric Power Corporation)는 일본 관서(關西)지방(고베, 오사카, 교토를 잇는 메갈로 포리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사로 오사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줄여서 간덴(Kanden,關電)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51년 설립된 회사로 발전설비는 수력 815만Kw, 화력 1780만Kw, 원자력 976만Kw를 각각 생산하며, 발전소는 164개에 총 3,576만Kw를 생산하는 회사이다. - 이 건물은 간사이 전력회사의 본점의 기능으로 디자인되었다. - 1단계로 나가노시마가로(中之烏通)의 3개 필지가 공동으로 개발한 프로젝트이다. - 이 건물은 환경과 공생하는 모델개념이 되는 것이 기본 개념 중의 하나이다. 창 부근의 지.. 2011. 1. 2.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다시 시작하듯이 도시를 바라보겠습니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읽고 현재를 통해 미래를 생각하겠습니다. 팀 블로거 - 허정도, 신삼호, 류창현, Urbandesign 2011. 1. 1.
왜 가포신항만 용도변경인가? 지난 20일 오후 2시 3.15아트센터에서 ‘가포신항만부지 용도변경’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해양신도시의 원인을 제공했던 가포신항만을 용도변경하자’는 지역사회의 여론을 주제로 삼아 마산지역 국회의원이 개최한 토론회였습니다. 가포신항만 착공을 시작으로 해양신도시 계획을 거쳐 통합창원시 출범 후 ‘해양신도시건설방향조정위원회’까지 관련된 죄(?)로 제가 발제를 하였습니다. 제목은 ‘가포신항만 용도변경 해결방안’ 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중 핵심이자 결론이랄 수 있는 ‘왜 가포신항만 용도변경인가?’에 대한 내용,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세 도시의 통합’ 부분의 일부만 간략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참고로, 항만용도변경으로 까지 진전된 이 논의의 시작은 '항만건설 때 생기는 준설토를 처리하기 위한 해.. 2010. 12. 29.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8) - 개항이후 -한국마산포 대일본제국 전관거류지 평면도- 1902년 5월 / 일본정부 / 한일양국정부 / 막대축척 / 마산포일본전관거류지협정서 / 규장각 마산의 일본전관거류지가 확정된 후 그 협정서에 첨부된 지도입니다. 자복포, 즉 구 한국철강 주변 일대가 상세하게 측량하여 표시되어 있습니다. 35회에 포스팅한 일본의 육군중포병대대(현재의 월영동 아파트 단지, 구 국군통합병원)가 옮겨오기 전의 자복포 일대를 세밀히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입니다. 지금은 완전히 사라져 버린 자복포의 해안선이 상세히 나와 있을 뿐아니라, 범례를 만들어 도로, 가옥, 구거, 묘지 등까지 잘 표시되어 있어서 당시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월영리에서 율구미로 이어지는 옛길도 세밀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토지의 소유도 러시아인소유지,.. 2010. 12. 27.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4) : 도요타 자동차 본사(Toyota motor Corporation head office) 도요타는 일본의 아이치현(愛知縣) 도요타시(豊田市)에 공장과 본사를 둔 자동차회사이다. 도시의 이름 자체가 도요타로 정해질 정도로 이 회사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회사는 창업자 사키치 도요다(Sakichi Toyoda)에 의해 1935년에 설립된 회사로 자동차를 만들기 전인 1890년부터 수동식 목제 베틀(직조기) 발명한 기계제작회사였다. 이후 1924년 자동 베틀(직조기)을 생산하는 등 꾸준히 새로운 분야를 찾아 고민 하던중, 유럽과 미국을 순방하고 온 후 1930년부터 가솔린 엔진 생산으로 업역을 확장한 후 1935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요타 자동차를 생산하였다. 1962년 태국현지 공장을 지어서 세계시장을 개척하고, 이후 1984년 미국의 제네랄 모터스사와 합자회사를 설.. 2010. 12. 24.
모처럼 밝아진 마산 밤거리 (창동, 오동동) 모처럼, 마산 밤거리(?)를 다녀보았습니다. 루미나리에 설치로 한결 밝아진 거리로, 같이 간 일행 모두 즐거운 야경을 감상했습니다. 이제껏까지 설치되어져 왔던, 루미나리에와는 달리 건물과 건물에 덩실덩실 메달려 LED 빛으로 선명하게 반짝이는 조명조형물들이 한결 차별돼 보였습니다. 그 길을 걸으며, 70-80년대 전성기 시절의 창동, 오동동에 대한 환담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한성백화점, 고려당, 태극당... 등등 사람과 사람으로 떠밀려다니던 저의 청년기를 다시 떠올려보며, 한결 밝아진 마산 밤거리로 기분도 밝아졌습니다. 하지만, 역사 깊은(?) 평화당 앞, 예술가들의 좌판을 보면서 씁쓸한 한켠, 어쩌면 문화적 자생력을 갖춰가는 것인지 모른다는 기대감을 가져보았습니다. 루미나리에... 그 설치의 본래 취지.. 2010. 12. 21.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7) - 개항이후 -마산포부근 지도- 1902년 / 향월원태랑 / 동경 청목숭산당 / / 한국안내 제8편 마산포안내 / 서울대중앙도서관 과문한 탓인지 모르지만 이 지도가 실려있는 책『한국안내』는 일본인이 편찬한 마산관련 문헌 중 최초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지도는 책의 부록에 첨부된 것이라 상세하지는 않습니다만 개항 초기 마산만 주변의 상황은 어느 정도 알 수 있도록 표기되어 있습니다. 지도에는「마산포 사건」으로 유명한 율구미(栗九味)의 노국전관거류지(露國專管居留地)와 자복포의 일본전관거류지(日本專管居留地)가 점선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20세기 초 마산포를 먹으려 혈안이었던 러시아와 일본의 각축을 짐작케 해줍니다. 도시지역에 대한 상세한 표기는 없고, 각국거류지와 마산포와 구(舊) 성적(城跡, 현 용마산에 위치한 산.. 2010. 12. 20.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3) : 혼다와코 빌딩(The Honda Wako Building) 혼다는 오토바이를 만드는 회사로 1946년 동경의 하마마쓰[浜松] 근처에 세워져소형의 경제적인 내연기관을 개발한 회사이다. 이후에 혼다 소이치로로 변경하고, 1948년 혼다자동차에 합병된 자동차회사이다. 소형 엔진 오토바이 혼다 C-100은 1953년에 도입되었고, 1959년까지 오토바이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63년부터 제조하기 시작한 자동차가 주력매출을 형성하지만, 그래도 혼다는 오토바이의 대명사로 세계 선두주자로 각인되어 있다. 본 건물은 혼다자동차의 본사로 동경 아오야마에 위치하고 있다. - 건물의 규모는 길이 104미터에 폭은 58미터이며, 중앙에 폭 12미터의 아트리움을 형성하고 있다. - 본건물 외벽측에 6미터를 띄어서 외피를 덧 붙힌 이중외피구조로 되.. 2010. 12. 17.
(속) 대형건물앞의 미술장식품(도시 공공예술). 감상 좀 하시나요? 건물의 장식품 쯤으로 여기던 공공미술. 이제는 시민들(보행자)의 일상속에 파고들고 있습니다. 공공미술이라는 용어는 30여년전 영국인 존 월렛이 "도시속의 미술"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미술작품을 직적 구매하여 감상하는 소수의 사람을 위하는 것이 아닌,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공미술의 개념을 제안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부터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신축 또는 증축할때 건축비용의 1%이상(2000년 1%이하로 하향조정)을 미술장식에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 (※ 문화예술진흥법) 1995년 법령 제정이후 10여년이 지난 2005년도에만 해도 건축물 미술장식품이 959점 설치되었는데, 이에 소요된 비용만해도 700억원이 소요된것으로 파악됩니다. 10여년동안에는 5,600여점가운데 .. 2010. 12. 15.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6) - 개항이후 개항이후부터 1910년 이전의 시기에 제작된 마산지도를 소개하겠습니다. 지도의 기본정보 표기는 개항기 때와 같습니다. 는 지도의 제목이며 제목 아래에 표기한 것이 지도의 기본 정보입니다. 표기 순서는「제작연도 / 제작자 / 발행처 / 축척 / 수록처 / 소장처」순입니다. 기록이 불가능한 부분은 해당 칸을 비워「/ /」로 표기하는데 지도제목이 동일한 경우에는 지도명칭 뒤에「*, **, ***」를 붙여 구분하겠습니다. -조계지현황도**- 1900년 / / / 마산포사건 관련 일본 해군대신관방서류(秘) / 미의회도서관(11)NT(C)NO.178 지도의 명칭은 원래 없었습니다. 「馬山機密本第八六號附屬 (마산기밀본 제86호 부속)」이라고 적혀 있을 뿐이었는데 지도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가 임의로 지도의 명칭을 붙였.. 2010. 12. 13.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2) : 엡슨 혁신센터 (Epson innovation Center) 엡슨'하면 쉽게 떠오른는 상품은 프린터 출력기기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알고보니 이 회사는 시계로 유명한 '세이코(Seiko)'계열회사인것 같습니다. '엡슨 혁신센터'는 일본의 동계올림픽이 치러졌던 나가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연구소 규모면에서 연면적 1만 5천평이 넘는 엄청난 규모에 일단 놀라게 됩니다. - 혁신센터는 마무리제품을 위한 연구시설이다. 엡슨 연구개발의 기능은 차세대 정보관련 가전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 연구소는 다른 단체와 제휴하며 공동으로 연구하며, 연구실과 실험실로 구분되어있다. - 이 연구시설은 탄소저감 60%를 목표로 환경보존을 위한 야심찬 도전을 구체화하였다. [CASBEE rank] S () [Location] Hirooka, Shiojiri, N.. 2010. 12. 10.
대형건물앞의 미술장식품. 감상 좀 하시나요? 길을 걷다가 규모가 큰 건물 앞을 지날때면 주위를 유심히 살펴보세요. 늘 다니던 곳인데도 그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조각작품이 서있는것을 발견할 수 있을것입니다. 건물앞에 설치된 이 미술장식품들은 연면적 1만평방미터 이상의 건물에 건축비의 100분의1 범위내에서 미술장식품을 설치하도록한 문화예술진흥법에 의해 의무적으로 설치 한 작품들입니다. 왜 이런 법을 만들었을까요? 아마도 삭막하고 무미건조한 도시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시각적 즐거움과 예술적 감흥을 주고 건축물의 외부공간을 품격있게 함으로서 도시경관의 수준을 높이고자 한것이 아닐까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주변을 설치된 작품들을 둘러보면 감동을 주거나 눈을 즐겁게 하는 작품은 손에 꼽기도 쉽지않은 실정입니다. 건물이나 주변환경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생뚱맞.. 2010. 12. 8.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5) - 개항이후 일본 신사(神社)가 우리 민족을 정신적으로 위압했다면, 물리력으로 우리를 억누른 것은 일본의 군대와 경찰이었습니다. 일본군대의 마산진출은 1905년 마산선 철도가 건설될 때 쯤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진출은 1909년 7월 일본육군의 중포병대대(重砲兵大隊)가 진해에서 마산 월영동(현 월영동아파트단지)로 이전한 것과 같은 해 12월 대구헌병분유소(大邱憲兵分遺所)을 신마산에 설립한 일입니다. 이 글은 월영동에 주둔했던 「육군중포병대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러시아와의 각축기에 일제는 율구미와 자복포 일대(현, 월영동 아파트 단지 및 구 한국철강 부근 일대)를 그들의 전관거류지로 확정했다가 1905년 러일전쟁이 끝나고 을사조약이 체결될 즈음 이 지역은 군용지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다가 1908년부터 본격.. 2010. 12. 6.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1) : 시미즈(淸水) 기술연구소 친환경 건축에 대한 자료를 찾던중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 자료(Japan Sustainabe Building Database Website)'사이트에서 일본의 에너지 성능평가방법인 '건축환경종합성능평가시스템(CASBEE : Comprenensiv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Environment Efficiency)'에 의해 우수한 평가를 받은 건물들의 친환경요소들을 정리한 사이트가 있었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여건적, 기술적 차이는 다소 있다고 하드라도, 계획과정상의 아이디어들은 재미있고, 참고 할만한 것들이 많았다. 그 중에서 업무시설(사무실)과 연구시설에 해당되는 건물들 위주로 소개하려고 한다. * 사이트 주소 : http://www.ibec.or.jp/jsbd/inde.. 2010. 12. 3.
'가출 청소년 쉼터'에서 비롯된 '담장허물기 운동' 시작은 아주 작고 미미한 일에서 비롯되어 큰일로 번졌을 때 '일파 만파'라는 말을 하죠, '나비효과'라는 말도 이와 비슷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말 뜻 그대로 일어난 사회운동 하나를 소개할까 합니다. 골목 주택가 담장을 일부 허무는 일로 시작한 것이 급기야 대구의 대규모 관공서와 종합병원, 학교, 심지어 공항과 교도소의 담장까지 허무는 일로 확산이 되었다고 하네요, 삼덕동 골목바람이 대구 전역을 휩쓸고 전국으로 확산되는 신풍같은 역할을 한 신통방통(?)한 '대구 삼덕동 마을'을 지난주에 다녀왔습니다. - 때는 19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구의 전통적인 구시가지인 삼덕동에 '가출청소년 쉼터'가 들어오면서 조용한 동네에 비상이 걸렸다. - 쉼터에서 생활하는 십대들은 노랑머리, 배꼽티를 입고 밤낮없이 .. 2010. 12. 1.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34) - 개항이후 일제가 우리 민족을 무력으로 위협한 것이 군대와 경찰이었다면 정신적으로 위압한 것이 신사(神社)였습니다. 한반도에 가장 먼저 들어온 일본신사는 부산신사인데 이미 17세기에 일본인들이 부산에 상주하면서 세워졌다고 합니다. 그 후 1876년 한일수호조약(강화도조약)이 체결된 후 개항된 도시에 각국공동조계지가 설치되면서 일본거류민들이 조계지에 신사를 세웠습니다. 마산의 일본 신사(神社)건립계획은 순종이 마산을 방문했을 때 쯤 (1909년 초) 홍청삼(弘淸三)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그 이전부터 마산경제회 등 일본인 유지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러 차례 신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아무도 그 일을 맡아서 하는 사람이 없었는데, 어느 날 홍씨가 마산의 일본인 유지 27명을 요정 ‘망월’에 초대하여 신사 창건을 호소하.. 2010. 11. 29.
낡은 한옥촌에서 한해 300만명이 찾는 관광의 별로... 도시를 바꾼 10가지이야기(10) 주민참여형 정책추진으로 지역재생에 성공한 "전주 한옥마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관광활성화와 관광선진국 도약을 위해 도입한 '2010 한국관광의 별'의 시설부분에 전주한옥마을이 선정되었다. 도심에 자리잡은 한옥마을이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관광지로 부상하게 된것이 수상의 이유이다. 전주 한옥마을이 이처럼 각광을 받기 시작한것은 불과 몇 년되지 않는다. 월드컵 특수를 누렸던 2002년의 관광객 수가 30여 만명이라고 하니 10년도 채 안되서 10배로 늘어난것이다. 무엇이 도심속 낡은 한옥촌을 최고의 문화관광 상품으로 변화시켰을까? 전주에 한옥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한것은 1930년 전후로, 도심으로 비집고 들어오는 일본식 집에 대응하기 위해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을 한채, 두.. 2010. 11. 26.